사회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외교관계 맺은 파키스탄·엘살바도르 "가상자산 협력 강화"

최근 가상화폐에 큰 관심을 보이는 파키스탄과 친(親) 가상화폐 국가를 표방하는 엘살바도르가 가상화폐 관련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16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빌랄 빈 사키브 파키스탄 가상화폐협의회 회장 겸 파키스탄 총리 특별보좌관은 전날 엘살바도르에서 나이브 부켈레 대통령과 만났다.
파키스탄 정부는 성명을 통해 양국이 가상화폐 등 디지털 자산과 관련한 전문지식 공유 등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 같은 움직임은 파키스탄에서 최근 들어 가상화폐에 대한 열기가 드높아지기 시작한 가운데 나온 것이다.


다만 파키스탄은 국제통화기금(IMF) 차관을 받는 상황이어서 가상화폐 시장 참여 등과 관련해 IMF 조건 준수라는 제약을 받고 있다.
2023년 국가부도를 면한 파키스탄은 지난해 IMF로부터 70억달러(약 9조7000억원)의 차관을 받기로 했다.
차관 공여는 2027년까지 이어진다.


인구 약 2억5000만여명으로 세계 5위인 파키스탄에선 1500만~2000만명이 가상화폐를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파키스탄 정부는 비트코인 채굴을 위해 2000메가와트(MW)의 전력을 배정한 데 이어 국립 비트코인 저장소도 건립할 계획이다.
이런 조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1월 취임한 직후 가상화폐 진흥을 위한 행정명령을 내린 데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전했다.


엘살바도르도 IMF 차관을 받는 상황에서 가상화폐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IMF는 당초 부켈레 대통령 정부의 가상화폐 관련 활동에 대해 다소 비관적인 견해를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부켈레 정부는 가상화폐 매입 중단을 요구하는 조건이 달린 차관 도입 계약을 IMF와 맺고 난 뒤에도 비트코인을 여전히 매입하고 있다고 지난 4월 밝힌 바 있다.


엘살바도르는 현재 시가 7억4500만달러어치의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다.
부켈레 대통령은 2021년 9월 세계 최초로 비트코인을 법정통화로 도입하는 등 자국을 가상화폐 중심지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승형 기자 trus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