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은 특정 박테리아에 감염된 수컷 모기를 집중적으로 살포해 하와이 지역에서 외래 모기의 개체 수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
하와이. 게티이미지뱅크 |
지난해 말부터 시작된 이 사업은 현재까지 마우이와 카우아이 등 일부 지역에 약 4000만 마리 이상의 수컷 모기를 살포했다.
최근에는 대형 드론을 이용해 더욱 넓고 접근이 어려운 지역까지 방사 범위를 확장하고 있다.
![]() |
모기. 클립아트코리아 |
기후 변화로 인해 기온이 급상승하면서 모기가 하와이 섬 전체로 더욱 확산될 가능성이 커졌다.
과학자들이 사용하는 전략은 ‘볼바키아’라는 박테리아를 활용한 것이다.
특정 박테리아에 감염된 수컷 모기는 번식이 불가능해 야생 암컷 모기와 짝짓기를 하더라도 알이 부화하지 않는다.
이를 통해 수컷 모기 수를 늘려 결과적으로 모기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효과는 확실치 않은 상태다.
지금까지 하와이 숲에 모기를 내보내기 시작한 지 약 1년밖에 되지 않았다.
장기적으로 감염병 전파를 억제할 수 있을지는 좀 더 관찰이 필요하다.
김기환 기자 kkh@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