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희토류 확보를 위해 중국에 대한 반도체 수출통제 완화를 검토한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FT에 따르면 백악관의 한 고위 당국자는 미·중 양국이 현재 영국 런던에서 고위급 무역협상을 진행 중인 가운데 중국이 희토류 수출 속도를 높이기로 합의하면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반도체 수출 제한을 완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도 이날 CNBC와 인터뷰에서 이번 런던 회담이 “크고 강한 악수를 하는 짧은 회담이 될 것”이라며 “악수 이후 미국의 수출통제가 완화되고 중국의 희토류가 대량 공급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FT는 이 같은 해싯 위원장의 발언이 트럼프 대통령이 기술 수출통제를 무역협상 카드로 적극 활용할 의향이 있음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이는 중국의 첨단 반도체 기술 접근을 차단하기 위해 전면적인 수출 규제를 도입했던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의 기조와 대조적이라고 짚었다.
다만 해싯 위원장은 어떤 품목의 수출 통제가 완화될지 구체적으로 밝히지는 않았다.
그는 엔비디아가 중국에 최첨단 반도체를 판매하지 못하도록 한 규제는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고 시사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무역협상의 동력을 살리기 위해 반도체 수출 통제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미국 정부는 중국 반도체 기업에 대한 추가 제재도 검토 중이지만 무역협상에 미칠 파장을 우려해 실제 적용 시점에 대한 내부 의견이 엇갈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주경제=이은별 기자 star@ajunews.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아주경제(www.ajunews.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