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심근경색을 경험한 환자는 급성심근경색 병력이 없는 사람보다 혈액암 발생 위험이 높다는 연구가 나왔다.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은 권성순 심장내과 교수와 윤석윤 종양혈액내과 교수팀이 최근 미국심장학회저널(JACC)에 발표한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서 혈액암 발생 위험: 전국 인구 기반 코호트 연구' 논문에 이같은 내용을 담았다고 9일 밝혔다.
권성순·윤석윤 교수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 데이터를 활용해 2003년부터 2021년 말까지 급성심근경색 진단을 받은 10만3686명과 연령·성별을 맞춘 10만3686명의 대조군을 비교했다.
그 결과, 급성심근경색을 경험한 그룹이 대조군에 비해 혈액암 발생 위험이 1.49배 더 높았으며, 다양한 변수들을 보정한 민감도 분석 및 표준화 발생비 분석에서도 일관된 결과를 보였다.
권 교수는 "급성심근경색과 혈액암은 주요 사망 원인이지만, 두 질병 간 연관성은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어 연구를 진행했다"며 "연구 결과와 같이 급성심근경색 환자를 장기 추적할 때 혈액암 발생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한다"고 말했다.
윤 교수는 "급성심근경색 환자의 위험인자로 주목받고 있는 '클론성 조혈증'은 혈액암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에 급성심근경색 환자에서 혈액암의 발생이 증가할 수 있겠다는 가설을 세우고 연구를 진행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 논문의 교신저자인 두 교수는 생물학연구센터(BRIC)의 '한국을 빛낸 사람들에도 선정됐다.
BRIC은 저널인용보고서(JCR) 기준, 피인용 지수 10 이상 또는 분야 상위 3% 이내의 세계적 학술지에 생명과학 관련 논문을 게재한 한국인 연구자를 매년 선정하고 있다.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