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사회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급성심근경색 환자, 혈액암 발생 위험 1.5배 높아

급성심근경색을 경험한 환자는 급성심근경색 병력이 없는 사람보다 혈액암 발생 위험이 높다는 연구가 나왔다.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은 권성순 심장내과 교수와 윤석윤 종양혈액내과 교수팀이 최근 미국심장학회저널(JACC)에 발표한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서 혈액암 발생 위험: 전국 인구 기반 코호트 연구' 논문에 이같은 내용을 담았다고 9일 밝혔다.


권성순·윤석윤 교수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 데이터를 활용해 2003년부터 2021년 말까지 급성심근경색 진단을 받은 10만3686명과 연령·성별을 맞춘 10만3686명의 대조군을 비교했다.
그 결과, 급성심근경색을 경험한 그룹이 대조군에 비해 혈액암 발생 위험이 1.49배 더 높았으며, 다양한 변수들을 보정한 민감도 분석 및 표준화 발생비 분석에서도 일관된 결과를 보였다.


권 교수는 "급성심근경색과 혈액암은 주요 사망 원인이지만, 두 질병 간 연관성은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어 연구를 진행했다"며 "연구 결과와 같이 급성심근경색 환자를 장기 추적할 때 혈액암 발생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한다"고 말했다.


윤 교수는 "급성심근경색 환자의 위험인자로 주목받고 있는 '클론성 조혈증'은 혈액암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에 급성심근경색 환자에서 혈액암의 발생이 증가할 수 있겠다는 가설을 세우고 연구를 진행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 논문의 교신저자인 두 교수는 생물학연구센터(BRIC)의 '한국을 빛낸 사람들에도 선정됐다.
BRIC은 저널인용보고서(JCR) 기준, 피인용 지수 10 이상 또는 분야 상위 3% 이내의 세계적 학술지에 생명과학 관련 논문을 게재한 한국인 연구자를 매년 선정하고 있다.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