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퀴어문화축제 조직위원회(조직위)와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는 현충일인 지난 6일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추모식을 열고 “배척 없고 포용하는 부대를 만들고자 한 변희수 하사의 마음은 국가가 성소수자인 그녀를 인정하지 않는다고 해도 절대 변하지 않는 마음이었다”며 “‘미약한 개인이지만 변화에 보탬이 됐으면 한다’고 했던 변 하사의 바람대로, 세상은 앞으로 한발짝 나아갔다”고 말했다.
![]() |
대전퀴어문화축제 조직위원회와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
이어 “정체성과 지향성으로 사람이 사회에서 올바른 대우를 받지 못한다면 그녀가 보여준 용기와 자긍심은 사라지고 말 것”이라며 “이 용기를 이어 나가 내일 제2회 대전퀴어문화축제를 열고 차별 없는 세상을 만들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대전퀴어문화축제 조직위원회 공동조직위원장 끼리는 추모식에서 “고 변희수 하사가 이 곳 대전에 안장된 지 1년이 지났다”며 “변 하사가 세상에 나와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고 자기 삶의 터전과 직장에서 만들고자 했던 변화를 우리는 지금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변 하사는 지금 우리 곁에 없지만 우리 마음 속에 평등을 향한 여정은 늘 함께하고 있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성소수자 모두가 본인이 하고자 하는 의지만 있다면 무엇이든 할 수 있는 사회, 직장 동료, 친구, 가족, 연인으로 인정받는 사회, 기존의 사회가 만든 차별적이고 착취적인 구조를 깨뜨리는 움직임을 이제 우리가 만들어 내자”고 강조했다.
변 하사는 2019년 성전환 수술을 받았다.
이듬해 육군은 수술 이후 생긴 신체 변화를 ‘심신장애’로 규정해 그를 강제 전역시켰다.
변 하사는 육군을 상대로 강제 전역의 취소를 구하는 행정소송을 제기했으나 첫 변론을 앞둔 2021년 3월 3일 집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변 하사는 국가인권위원회 권고에 따라 지난해 3월 순직이 인정돼 그해 6월 24일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됐다.
대전=강은선 기자 groove@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