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달가슴곰이 짝짓기 등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환경부는 국립공원 탐방객 안전을 위해 탐방 수칙 안내를 강화한다고 13일 밝혔다.
국립공원공단에 따르면 반달가슴곰은 겨울잠에서 깨어난 봄철(3~5월)보다 여름철(6~8월) 행동반경이 5.3배 증가한다.
반달가슴곰의 활동이 왕성해지는 교미 시기도 5월 말부터 시작돼 7월까지 이어진다.
국내 반달가슴곰은 지리산과 덕유산에 93마리가 서식 중이다.
환경부는 이 시기 지리산국립공원 일대에서는 법정 탐방로만을 이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단독 산행보다는 2인 이상 무리를 지어 산을 오르고, 가방걸이용 종 등 소리 나는 물품을 이용하라고 권고했다.
국립공원공단은 출입이 금지된 샛길 입구 등 600여 곳에 반달가슴곰 서식지임을 알리는 홍보 깃발과 무인안내기를 설치했다.
가을(9월~11월)에는 지리산국립공원 탐방로 입구에서 가방걸이용 종과 호루라기 등을 나눠줄 계획이다.
올해 하반기에는 지리산과 덕유산국립공원 탐방안내소, 대피소 등에서 소리 나는 물품을 판매한다.
지리산 종주 능선 10곳에는 고정식 종을 시범 설치할 예정이다.
반달가슴곰은 보통 탐방객과 마주치면 먼저 자리를 피한다고 설명했다.
그렇지 않을 경우 등을 보이거나 시선을 피해서는 안 된다.
자리를 벗어날 때는 뒷걸음으로 조용히 움직여야 한다.
먹을 것을 주거나 사진 촬영을 위해 다가가는 등 반달가슴곰을 자극하는 행동은 하지 말아야 한다.
한편 반달가슴곰은 사람에 대한 경계심과 회피 성향이 강해 탐방로에서 지난 10년간 목격된 사례가 10건에 불과하다.
주대영 국립공원공단 이사장은 "지리산 일원은 안정적으로 반달가슴곰이 서식할 수 있는 여건이 확보된 만큼 앞으로는 반달가슴곰과 사람이 안전하게 공존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송승섭 기자 tmdtjq8506@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