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종교화 사회와 연결된 출가자 감소 문제는 한국 불교의 근간을 흔드는 중요한 문제입니다. 출가자 감소의 해답은 부처님 법을 따르며 수행하는 삶의 가치를 많은 분께 알리는 것에 있습니다. 출가와 수행이 곧 나와 세상을 위한 길임을 적극적으로 홍보할 것입니다. ” | 월정사 단기출가학교 입교자들이 행자 차림으로 산길을 걷고 있다. 세계일보 자료사진 | 출가자 감소가 불교계 중대 현안이다. 지난 21일 신년기자회견에서도 조계종 진우 총무원장이 이처럼 걱정했을 정도다. 27일 조계종에 따르면 행자 생활을 마치고 지난해 조계종에서 사미계 혹은 사미니계를 받은 출가자는 81명. 10년 전인 2024년(226명)의 약 3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사미계나 사미니계를 받은 출가자는 2012년 212명이었고 2013년에 236명으로 늘었지만 2014년부터는 대체로 감소했다.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을 받은 2022년에는 61명으로 쪼그라들기도 했다. 출가자 감소는 한국 사회의 전반적인 탈종교화와 맞물려 있다. 한국갤럽의 조사 결과를 보면 국내 성인 중 종교인의 비율은 2004년에는 54%였는데 2014년 50%로 축소했고, 2021년에는 40%까지 하락했다. 종교인 비중이 감소하면서 불교를 비롯한 주요 종교 신자도 줄었다. 2004년에는 국내 성인 중 24%가 불교도였는데, 2021년에는 16%로 축소했다. 같은 기간 개신교인의 비율은 21%에서 17%로, 천주교인은 7%에서 6%로 변동했다. 출가자가 급감하면 포교 역량을 갖춘 스님들이 줄어든다. 이는 불교 신자의 축소 및 출가자 감소라는 악순환을 유발하므로 종단의 우려가 커질 수밖에 없다. 조계종은 해법을 찾으려고 젊은 층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조계종은 일반적인 출가 연령을 만 50세 이하로 제한하고 있기 때문에 고령층 신도를 늘리는 방식으로는 미래에 종단의 주요 기능을 담당할 승려를 충분히 확보하기는 어렵다. 청년 대학생 출가를 장려하기 위해 이른바 '힙한 불교'를 내세우며 불교가 젊고 활기찬 종교라는 이미지를 부각하고 있다. 올 한해 템플 스테이 시설을 활용한 권역별 단기출가학교 개설을 검토하는 한편 교구본사별 출가 장려 프로그램·행사 시행 의무화를 추진한다. 또 박람회, 연등회, 군종병 교육, 청년·대학생 각종 행사 등에서 출가 홍보를 적극적으로 시행할 방침이다. 이밖에 불교 전통 수행법인 간화선을 개량한 '5분 명상' 등 여러 선명상 프로그램을 개발해 정신 건강 증진 사업을 추진하는 등 일반인들이 불교문화를 더 친근하게 접할 기회도 모색하고 있다. 박성준 선임기자 alex@segye.com
|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