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의 명절 설에는 오랜만에 모인 가족들로 웃음꽃을 피운다. 여기에 빠질 수 없는 게 아주 맛깔스럽고, 손이 절로 가는 음식들이다. 하지만 지나치게 많이 먹거나 기름에 절은 때 위장에 과부하가 걸리는 등 각종 소화기의 불편함을 경험할 수 있다. 건강한 설을 보내기 위한 예방법과 생활 습관은 무엇일까.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명절 음식은 대체로 열량이 높고 기름진 경우가 상당수다. 전·갈비찜·잡채와 같이 튀기거나 볶는 조리법이 많기 때문에 소화되는 과정 중 위장에 부담을 준다. 특히 과식할 땐 복부 팽만감이나 속 쓰림을 유발할 가능성도 적지 않다. 또한 간식과 야식을 반복하며 식사 시간이 불규칙해기 마련이다. 이 시기 흔히 나타나는 소화기질환에는 역류성 식도염이나 위장관염이 있다. 이 가운데 소화불량은 복부가 크게 부풀어 오르고, 상복부 통증, 식후 포만감 등이 느껴진다. 과식과 기름진 음식 섭취가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역류성 식도염은 늦은 밤 또는 과도한 음식 섭취로 인해 위산이 역류하면서 발생하는 것이다. 주요 증상으로는 신물이 올라오거나 속 쓰림과 가슴 통증이 나타난다. 식사 뒤 바로 눕는 행동은 증상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 명절 음식의 대량 조리 및 상온 보관으로 구토·설사·복통을 보이는 위장관염 환자도 늘어난다. 모처럼 즐거운 때 힘든 상황을 맞지 않기 위해서는 몇 가지 실천이 필요하다. 먼저 양을 스스로 조절하는 것이다. 식사할 때는 먹을 만큼만 식탁에 올리는 습관이 요구된다. 아울러 기름진 음식은 신선한 채소를 곁들어 소화 부담을 줄이는 게 좋다. |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전경. | 밥을 먹은 뒤 지나친 운동은 오히려 소화를 방해하지만, 가벼운 산책이나 일상 활동의 경우 도움을 준다. 위생 관리도 절대 소홀해서는 안 된다. 이외 음식은 적정 온도에서 보관하고, 섭취 전 충분히 가열해야 하며, 조리 도구와 손을 깨끗이 씻는 등 기본적인 위생 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 디저트로 즐기는 과일 섭취에도 주의가 필요하다. 과도하게 먹을 시 혈당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최영희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설은 가족과 함께 따뜻하게 보내는 소중한 기회지만, 소화기를 돌보지 않으면 즐거운 시간이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인천=강승훈 기자 shkang@segye.com
|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