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오송 참사 2주기를 하루 앞둔 14일 사고 현장을 찾아 환경부와 충북도로부터 당시 발생한 제방 붕괴 원인과 침수사고 경과를 비롯해 개선사항에 대한 브리핑을 듣고 지방정부와 중앙정부가 나눠서 해야 할 일과 함께할 일을 잘 구분하고 단위별로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관리부실로 인한 인명하고는 엄격하게 처벌해야 한다고 재차 밝혔다.

강유정 대변인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통해 이 대통령은 인력으로만 해결할 게 아니라 구조적, 시스템적으로 해결해야 할 부분이 없는지 묻고 이같이 강조했다고 전했다.
오송 참사는 2023년 7월 15일 오전 8시 27분 집중호우와 제방 붕괴로 충주 궁평2지하차도가 침수되며 발생했으며, 이 사고로 14명 사망하고 16명이 부상을 입었다.
이 대통령은 김영환 충북도지사에게도 충북 침수 위험 지역 등 세부적인 사항을 묻기도 했다.
강 대변인은 "이 대통령은 충북지사를 상대로 침수 위험 지역을 어디고 저수용량이 부족한 원인이 무엇인지, 지방하천과 국가하천 관리가 잘 되고 있는지 등을 세세하게 짚어 물었다"면서 "사고 이후 차량진입 차단 시설과 비상 대피 시설 차수벽, 핸드레일 등이 설치된 지하차도 일대 살펴보며 재난 대책 시설물 개선과 재정지원만큼이나 작동 점검이 중요하다고 했다"고 전했다.

또 이 대통령은 참사와 관련한 수사 진행 상황 등 유가족들의 요구사항을 확인하는 한편 관리부실로 인한 인명사고는 엄격하게 처벌해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강 대변인은 "(이 대통령은) 수사 진행 상황 등에 대한 유가족 요구 사항 없는지 묻고 관리부실로 인한 인명사고는 엄격히 처벌해야 다 재차 강조했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현장 방문에는 김광용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오병권 자연재난실장, 금한승 환경부 차관, 이승환 수자원 정책관을 포함해 충북도지사, 이연희 더불어민주당 의원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모두 검은 추모 리본 패용했다.
임철영 기자 cyl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