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정부 "표류 북한 주민 6명 동해상 송환…北 경비정 대기"


서해·동해 표류 주민 구조 124일·43일 만
동해에서 구조한 선박으로 자력 이동


정부가 동·서해상에서 표류하다가 남측으로 내려온 북한 어민 6명을 9일 동해상으로 송환했다. 사진은 지난 2019년 7월 13일 오전 1시 18분께 동해 북방한계선(NLL) 해상에서 발견된 북한 무인 목선. /뉴시스
정부가 동·서해상에서 표류하다가 남측으로 내려온 북한 어민 6명을 9일 동해상으로 송환했다. 사진은 지난 2019년 7월 13일 오전 1시 18분께 동해 북방한계선(NLL) 해상에서 발견된 북한 무인 목선. /뉴시스

[더팩트ㅣ송호영 기자] 정부가 9일 동·서해상에서 표류하다가 남측으로 내려온 북한 주민 6명을 동해상으로 송환했다. 북한 경비정이 인계 지점에 대기하고 있던 것으로 알려졌다.

통일부에 따르면 우리 측은 이날 이들을 태운 선박을 북방한계선(NLL) 인근까지 인도했다. 북한 주민들을 태운 선박은 이날 오전 8시 56분께 동해 NLL을 넘었고, 9시 24분께 북한 경비정과 만났다.

앞서 지난 3월 7일엔 서해에서 어선을 타고 표류하다 NLL 이남으로 내려온 북한 주민 2명이 구조됐고, 5월 27일엔 동해 NLL 이남에서 목선을 타고 표류하던 북한 주민 4명이 구조됐다.

이에 따라 서해에서 구조된 주민들은 124일, 동해에서 구조된 주민들은 43일 만에 북한으로 돌아가게 됐다.

이날 송환은 서해 표류 선박 파손 정도가 심한 관계로 동해로 내려온 목선을 수리한 뒤 진행됐다. 이는 북한 주민 전원의 동의에 따른 것으로 이들은 정부 당국의 조사 초기부터 북한 귀환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뉴시스에 따르면 통일부 당국자는 "통일부는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안전하고 신속하게 북한 주민들을 송환한다는 입장 아래 관계기관과 협력해 송환에 노력해 왔다"며 "송환 과정에서 귀환에 대한 북한 주민의 자유의사를 여러 차례 확인하고, 관계기관과 협력해 송환 전까지 북한 주민들을 안전하게 보호했다"고 설명했다. 이 당국자는 "결과적으로 원활하고 안전한 송환이 됐다"고 밝혔다.

정부는 남북 연락채널이 끊긴 상황에서 그간 유엔군사령부를 통해 주민 송환 의사를 타진했으나 북측은 송환 당일까지 별다른 응답을 하지 않았다.

hysong@tf.co.kr



뉴스 스크랩을 하면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