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재명 대통령과 유시민 작가, 도올 김용옥 선생. 뉴시스 |
유 작가는 “‘(이재명 정부가) 유시민한테 총리를 해달라고 했는데 거절당하니까 그 다음으로 김민석(더불어민주당) 의원을 지명했다’는 이야기에 대해선 저는 모른다”고 선을 그었다.
유 작가는 ‘행복하게 살기 위해 권력을 멀리한 것인가'라는 질문에는 “공직에 있다고 해서 꼭 불행해지는 건 아니다.
이 대통령처럼 공직을 해야 행복한 사람이 있다”면서도 “저 같은 스타일은 공직 수행으로 보람을 느끼더라도, 개인적 만족을 얻는 스타일이 아니다”고 답했다.
또 유 작가는 향후 정치 비평을 자제하겠다면서 “다른 비평가들의 경우와 달리 제가 비평을 하면 (다른) 비평가들이 비난을 하고 왜곡한다.
때로는 국민의힘과 민주당에서도 비판을 받는데 이 부분이 제일 힘들었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다 보니 (정치 비평이) 되게 부담되는 일이다.
‘왜 나만 유독 그러지?’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덧붙였다.
특히 유 작가는 이러한 다짐의 계기로 지난 대선 막판에 불거진 ‘설난영 씨 비하 논란’을 언급했다.
당시 유 작가는 김문수 당시 국민의힘 대선후보 배우자인 설 씨의 언행을 비판하는 과정에서 ‘여성·노동자에 대한 차별적 인식’을 드러냈다는 지적을 받았다.
유 작가는 “(설 씨 비하 논란을 겪으면서) ‘더 이상 정치 비평을 하면 안 되겠구나’라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됐다”면서 “민주당원은 아니지만 제가 하는 활동이 민주당 쪽에 늘 도움이 되길 바랐는데, 내 마음과 달리 안 그럴 때도 있더라”고 말했다.
한편, 유 작가는 참여정부 시절 여당인 열린우리당에서 16·17대 국회의원을 지냈고, 2006년에는 보건복지부 장관으로 입각해 일했다.
이후 2018년부터 2021년까지 노무현재단 이사장을 맡았다.
박윤희 기자 pyh@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