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강훈식 비서실장은 '치아의 악연' 비껴갈까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이 잇몸 영양제를 먹기 시작했다.
주변에서 "비서실장을 하면 이가 빠지는 경우가 많으니 미리미리 건강 챙겨라"라는 소리를 많이 들었기 때문이다.
강 실장의 걱정이 단순한 기우는 아니다.
과로와 스트레스에서 기인한 '비서실장과 치아의 악연'을 여러 사례가 말해주기 때문이다.


문재인 전 대통령의 경우가 대표적이다.
문 전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민정수석·비서실장으로 근무하는 동안 10개의 치아를 뽑았다.
그는 야당 대표할 때 하나를 더 뽑아 모두 11개의 임플란트를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문 전 대통령은 자서전 '운명'에 "웃기는 것은 나부터 시작해 직급이 높을수록 뺀 치아 수가 많았다.
우리는 이 사실이야말로 직무 연관성이 있다는 확실한 증거라며 우스갯소리를 했다"고 기록했다.
자신 외에도 당시 청와대에 근무하던 직원 중 치아를 뺀 사람들이 많았다는 얘기다.
그만큼 일이 많고 스트레스에 시달린다고 볼 수 있다.


문재인 대통령 시절 초대 비서실장을 맡았던 임종석 전 실장도 1년 7개월 근무하는 동안 6개의 치아를 빼고 임플란트를 했다.
임 전 실장의 뒤를 이은 노영민 전 비서실장도 치아를 여러 개 뺐다.


대통령제 국가에서 대통령 비서실장은 단순한 비서가 아니다.
흔히 '권력의 2인자'로 통한다.
그만큼 힘이 세다는 얘기다.
이재명 정부 대통령실에는 비서실장, 안보실장, 정책실장, 외교안보보좌관 등 네 개의 장관급 자리가 있다.
비서실장은 유형에 따라 업무 스타일이 다르다.
대통령 보좌에 치중하는 '그림자형'이 있는가 하면, '왕실장'으로 불리는 실세형도 있다.
국회와의 소통에 능한 '소통형' 비서실장도 있다.
때로는 대통령에게 쓴소리하는 '정무형'도 빼놓을 수 없다.
공통적인 것은 비서실 전체를 통할해야 하니 업무가 만만치 않다는 점이다.
때로는 국정감사 등에서 국회의 공세를 막아내야 하는 '방패' 역할도 해야 한다.


강 실장은 '비서실장과 치아의 악연'에서 예외가 될 수 있을까.

※영상을 클릭하시면 자세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소종섭 정치스페셜리스트 kumkang2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占쎈Ŧ逾믭옙占�
HTML占쎈챷彛�
沃섎챶�곮퉪�용┛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