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이재명 "첨단 기술시대 우리가 선도"…울산서 'AI' 강국 도약 첫발

이재명 대통령이 20일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울산 인공지능AI 데이터 센터 출범식에서 참석자들과 함께 기념 세리머니에 참여하고 있다왼쪽부터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최민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이 대통령 아마존웹서비스AWS 프라사드 칼야나라만 인프라 총괄 대표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김두겸 울산광역시장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20일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울산 인공지능(AI) 데이터 센터 출범식에서 참석자들과 함께 기념 세리머니에 참여하고 있다.
왼쪽부터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최민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이 대통령, 아마존웹서비스(AWS) 프라사드 칼야나라만 인프라 총괄 대표,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김두겸 울산광역시장.[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20일 초대형 AI(인공지능) 데이터센터가 들어서는 울산을 찾아 "울산 경제도 다시 살아나고 대한민국 경제도 새로운 희망을 꽃피는 첫 출발점이 되길 기대하겠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울산 울주군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AI 글로벌 협력 기업 간담회에 참석해 “AI를 중심으로 하는 첨단기술 산업 시대에 우리가 세계를 선도하는 훌륭한 역할을 잘 해낼 것으로 믿는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이 취임 후 지방과 산업현장을 찾은 것은 이날이 처음이다.
전날 과학기술 강국 실현을 위해 이공계지원법 시행령을 개정한 것에 이어 'AI 3대 강국' 도약이라는 국정기조를 직접 챙기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이날 울산에서 열린 '대한민국 AI(인공지능) 고속도로, 울산 AI 데이터센터' 출범식에는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김두겸 울산광역시장이 자리했다.
국회에서는 최민희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 최형두 과방위 간사, 김태선·김상욱 울산 지역 국회의원이, 대통령실에서는 김용범 정책실장, 하준경 경제성장수석,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 류덕현 재정기획보좌관, 김남준 제1부속실장, 권혁기 의전비서관, 김우창 국가AI정책비서관, 강유정 대변인, 황인권 경호처장 등이 참석했다.
민간에서는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신아 카카오 대표이사, 이준희 삼성SDS 대표이사 사장, 배경훈 LG AI연구원 원장, 서범석 루닛 대표이사, 백준호 퓨리오사AI 대표, 조준희 한국AI·SW협회장,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이사가 자리했다.
 
이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울산은 대한민국 산업화의 첫 출발지이다.
울산이 살아야 대한민국 지방경제 전체가 살아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이어 "대한민국이 지금까지는 고속성장을 해왔는데, 지금은 시중말로 깔딱고개를 넘어가는 거 같기도 하다"며 "우리가 준비하기에 따라서 완전히 새로운 세상을 나아갈 수도 있고, 여기서 되돌아 내려갈 수도 있는 그런 상황이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 국민들의 위대한 저력으로 저는 이 위기를 다 이겨내고 새로운 대한민국을 맞이할 것으로 믿는다"며 "우리 국민들의 위대함 속에 우리 기업인들의 또 위대함이 있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님 정말 뛰어난 능력으로 우리 대한민국 산업경제를 이끌어 주고 계시고, 우리가 지금 맞닥뜨리고 있는 AI 중심으로 한 첨단기술 산업시대에 우리가 세계를 선도하는 그런 훌륭한 역할을 잘 해낼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또 "특히 지방에서 대규모 AI 데이터센터를 유치하게 된 부분에 있어서 각별한 의미가 있는 거 같다.
우리 최태원 SK회장님 애쓰셨다”면서 "앞으로 대한민국 첨단기술산업이 수도권에서만이 아니라 지방에서도 가능하다는 걸 보여주는 모범 사례가 될 수도 있을 것 같다"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한편, SK그룹은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함께 울산 미포 국가산업단지에 100MW(메가와트) 규모 AI 전용 데이터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양사가 수조원을 투자하는 초대형 민관 프로젝트로 알려졌다.
데이터센터는 울산시 남구 황성동 일대 3만6000㎡ 부지에 조성되며 2027년 11월까지 1단계로 40여MW가 가동되며 2029년 2월까지 103MW 규모로 완공될 예정이다.
100MW급 그래픽처리장치(GPU) 전용 설비를 갖춘 AI 인프라는 국내 최초다.

아주경제=최인혁 기자 inhyeok31@ajunews.com

뉴스 스크랩을 하면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