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사드·지소미아 과거 발언 비판
“韓, 북·중·러 자주적 상대 옳은가”
李 “한·미 동맹이 가장 기본 바탕”
“김정은 독재자냐” 묻자 李 “맞다”
16번 과태료… 상습 과속운전 지적도
李 “간첩법 반드시 개정” 밝혀
“이런 분이 국가정보원을 이끄는 수장이 됐을 때 국정원이 과연 대한민국을 지키는 기관으로 기능을 할지, 아니면 북한의 대남 연락사무소 기능을 하는 기관으로 전락할지 걱정하게 된다.
”(국민의힘 송언석 원내대표)
“국정원장 후보자를 대남 연락소장으로 지칭하는 것은 도저히 수용할 수 없는 것이다.
(윤석열정부 국정원장은) 윤석열 내란수괴 보호 연락소장이냐.”(더불어민주당 김영진 의원)
”(국민의힘 송언석 원내대표)
“국정원장 후보자를 대남 연락소장으로 지칭하는 것은 도저히 수용할 수 없는 것이다.
(윤석열정부 국정원장은) 윤석열 내란수괴 보호 연락소장이냐.”(더불어민주당 김영진 의원)
19일 이재명정부 들어 처음으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여야는 이종석 국정원장 후보자를 두고 공방을 주고받았다.
야당 의원들은 이 후보자를 상대로 대북관과 안보인식을 집중적으로 검증한 반면 여당 의원들은 이 후보자를 옹호하며 국정원 개혁을 주문하는 데 주력했다.
![]() |
이종석 국가정보원장 후보자가 1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정보위원회에서 대북·안보 관련 질의를 위해 비공개로 진행되는 인사청문회에 참석해 자리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 후보자의 개인 신상과 관련된 내용은 공개 회의로, 대북·안보 관련 질의는 비공개 회의로 각각 진행됐다.
국민의힘 송언석 원내대표는 이 후보자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관련 과거 발언을 부각하며 “이 후보자 성향이 너무나 친북적이라는 얘기들을 여기저기에서 많이 한다”고 말했다.
같은 당 권영세 의원은 이 후보자에게 “우리 혼자 자주적으로 러시아, 중국과 연결된 북한을 상대하는 게 옳다고 생각하느냐”고 물었다.
이에 이 후보자는 “한·미동맹이 가장 기본적인 저희의 바탕”이라며 “그 위에서 한·미·일 협력이 있고, 주변 국가관계를 관리하는 것이 현재 이재명정부의 정책적 방향”이라고 답했다.
유영하 의원이 “김정은(북한 국무위원장)은 독재자냐”고 묻자 이 후보자는 “독재자다”라고 답하기도 했다.
국민의힘은 이 후보자의 ‘상습 과속운전’ 논란을 거론하며 도덕성을 지적하기도 했다.
송 의원은 이 후보자가 2022년 3월부터 2024년 10월까지 총 31개월간 16번 적발돼 도로교통법 위반에 따른 과태료 총 73만원을 납부한 사실을 들어 “실수가 여러 번 계속해서 일어나면 그것은 실수가 아니다.
원래 성향이 그런 것”이라고 꼬집었다.
![]() |
신성범 국회 정보위원장이 1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이종석 국가정보원장 인사청문회 개의를 선언하고 있다. 뉴스1 |
국정원 출신인 민주당 김병기 원내대표는 “인사 왜곡이 국정원에서는 불행히도 정권이 바뀔 때마다 반복되고 있다”며 “외국 선진 정보기관은 이 점을 일찍이 간파하고 1970년대부터 ‘외부에 의한 정보 감시체계’ 기능을 강화했다”고 지적했다.
김영진 의원은 “해외 관련 정보수집의 중요성과 그에 따라 외교·안보 정책을 마련하는 것이 국익과 생존에 중요한 시기가 됐다”며 제언했다.
아울러 여당은 국정원의 12·3 계엄사태 관여 정황과 비화폰 기록 삭제 문제 등을 거론하며 야당 공세에 맞불을 놨다.
윤건영 의원은 “(국정원이) 불법 내란에 관여된 걸로 의심받고 있는 정황들이 여러 가지 있다.
조태용 전 국정원장과 경호처장의 통화 이후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화폰 기록이 삭제되지 않았나”라고 물었다.
김 의원도 “민간인 노상원과 (대통령) 배우자 김건희에 대한 비화폰 지급은 적절하지 않았다.
(비화폰 지급) 제도를 정확히 개선해달라”고 강조했다.
이 후보자의 대북관을 놓고 여야 공방이 펼쳐지며 고성이 오가기도 했다.
민주당 김 의원은 국민의힘 송 원내대표의 ‘대남 연락사무소’ 발언에 대해 사과를 요구했다.
이에 대해 송 원내대표는 “지금 대한민국 안보가 굉장히 위중한 상황인데, 국정원장이 북한과의 관계를 어떤 시각을 갖고 바라보는지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후보자 인식을 여쭤본 것”이라며 응하지 않았다.
백준무·김나현 기자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