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렇지만 앞으로 5년간 대한민국호를 이끌 지도자를 뽑는 선거인 만큼 후보와 그 정당이 어떤 계획과 청사진을 가졌는지는 중요한 요소다.
특히 공약은 유권자가 정책으로 정당과 후보를 평가하는 최소한의 도구다.
동시에 유권자와 정치인이 맺는 임기 5년에 대한 계약서 역할도 한다.
미국발 통상전쟁, 인공지능(AI) 기술패권 경쟁, 역대 최저치를 연일 경신하는 낮은 경제 성장률 등 복합 위기 속에 취임할 제21대 대통령을 선택하는 데 공약은 나침반이 될 것이다.
![]() |
![]() |
아울러 민주화 이후 13∼21대 대선후보들의 공약을 AI 기술을 활용해 각 시대정신과 이념지향을 분석한 기획부터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역대 공약관리 부실, 정책선거 예산 부족, 어려운 공약집 문제 등도 함께 심층적으로 짚었다.
![]() |
![]() |
10대 공약은 후보자가 내세우는 국가운영 비전이자 계획표다.
여기에는 핵심 정책 우선순위와 구체적인 이행방법 등이 집약돼 있다.
공약집의 표현을 가급적 그대로 옮겼고, 주요 이행방안 중 우선순위 3가지를 중심으로 추렸다.
10대 공약 전문은 선관위 홈페이지, 전체 공약집은 각 당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자료: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후보자 이력은 후보가 선관위에 제출한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
매니페스토취재팀=조병욱·장민주·정세진 기자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