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왼쪽은 김경수 민주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총괄선대위원장. [사진=연합뉴스]
이날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에 따르면 이 후보는 '경제 해결' 대선 주자 적합도에서 55.4%의 지지를 받았다.
뒤이어 한덕수 후보는 19.9%, 김문수 후보는 12.3%,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는 4.6% 순으로 나타났다.
이 후보는 호남권에서 74.4%를 기록해 압도적인 신임을 받았다.
세대별로는 40대(66.6%)와 50대(68.9%), 직군으로는 자영업자(61.1%)가 60%를 웃도는 지지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연합뉴스]
이준석 후보는 20대에서 12.3%로 전체 결과(4.6%) 대비 2.5배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경제 현안의 경우 국가 정책 방향으로 '내수·자영업·중소기업 중심의 생활 경제 회복'을 선택한 응답이 56.3%로 나타났다.
'인공지능(AI)·로봇·신약 등 첨단 미래산업 중심의 성장 전략'을 선택한 응답은 33.3%로 집계됐다.
청년 고용률이 저조한 이유로는 '불경기로 인한 고용 시장 침체 및 정부 정책 미비'가 46.3%로 가장 높았다.
이어 '대기업 중심의 고용 독점 및 하도급 일자리 확산'(26.5%), '청년층의 실무역량 및 취업 의지 부족'(21.9%) 순으로 조사됐다.

[사진=연합뉴스]
자본시장 전반에 관한 조사에서 자회사 동시 상장에 대해 국민 10명 중 6명 이상인 62.2%가 부정적으로 인식한 반면 긍정적 인식은 23.4%에 그쳤다.
분할상장 제도 개선 필요성에 대해선 53.4%가 개선이 필요하다고 했지만, 32.7%는 동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분할 상장으로 야기되는 부작용 문제로는 '대주주의 상장 과실 독식'(34%)과 '투자자 불신에서 비롯된 국내 자본시장 이탈'(30.3%)이 오차범위 내에서 비슷한 의견을 보였다.
'기존 기업 주주의 피해'는 20%로 나타났다.

[사진=연합뉴스]
이번 조사는 지난 7일과 8일 이틀 동안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1만9772명에게 통화를 시도해 최종 1001명이 응답을 완료, 5.1%의 응답률을 나타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1%P(포인트)이다.
무선(100%) 자동응답 방식, 무작위생성 표집 틀을 통한 임의 전화 걸기 방법으로 실시했다.
아주경제=서민지 기자 vitaminji@ajunews.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아주경제(www.ajunews.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