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연합뉴스]
이날 서울경제신문이 한국갤럽에 의뢰해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김문수·한덕수 후보가 단일화한다면 누구로 단일화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느냐’를 물음에 김 후보가 41%, 한 후보가 35%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는 지난 6~7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14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격차는 6%포인트로 오차범위 내였다.
두 후보 선호도는 연령과 지역, 정치 성향 등에 따라 반응이 엇갈렸다.
연령별로 40대(48%)와 50대(48%), 60대(43%) 등은 김 후보를 선택했다.
반면 70세 이상(52%)과 18~29세(37%)는 한 후보를 택했다.
정치 성향별로 진보(55%)는 김 후보, 보수(55%)는 한 후보를 더 선호했다.
다만 대선에서 ‘캐스팅보터’ 역할을 할 중도층은 김 후보 41%, 한 후보 28%로 조사돼 김 후보가 오차범위 밖인 13%포인트 차로 앞섰다.
하지만 국민의힘 지지층과 무당층으로 대상을 한정할 경우, 한 후보(55%)가 김 후보(27%)보다 두 배 이상 압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견 없음(17%)과 모름·무응답(2%) 등 유보층은 19%였다.
국민의힘 지지층과 무당층의 경우, 전 연령과 전 지역에 걸쳐 한 후보를 더 선택했다.
특히 연령별로는 70세 이상(68%)과 60대(66%), 50대(62%)를 나타내며 한 후보 지지가 가장 높았다.
지역별로는 대구·경북(65%)과 서울(57%), 대전·세종·충청(57%)에서 한 후보로의 단일화에 더 적극적이었다.
단일화 찬반 조사에서는 찬성은 42%, 반대는 32%로 집계됐다.
모름·무응답은 26%였다.
연령별로 60대(54%)와 70세 이상(53%) 등에서는 단일화 찬성론이 더 많았다.
반면에 40대(39%)와 50대(36%)는 단일화 반대론이 우위였다.
지역별로는 광주·전라(50%)에서만 반대가 더 많았다.
대구·경북(62%)과 제주(50%), 부산·울산·경남(45%) 등 나머지 지역에서는 찬성을 더 선택했다.
또 국민의힘 지지층으로 한정하면 10명 중 9명이 후보 단일화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지 정당별로 국민의힘 지지층의 87%가 단일화에 찬성했고 반대는 8%였다.
무당층도 찬성(35%)이 반대(18%)보다 높았으나 모름·무응답이 47%에 달했다.
정치 성향별로 보수층은 찬성 73%, 반대 16%로 나타났다.
중도층은 찬성이 34%를 기록해 반대 35%로 근소하게 앞섰다.
서울경제·한국갤럽 여론조사의 표본 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3.1%포인트다.
이번 조사는 국내 통신 3사가 제공한 휴대전화 가상(안심) 번호 100%를 이용한 전화 면접으로 진행됐다.
응답률은 16.5%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아주경제=정현환 기자 dondevoy@ajunews.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아주경제(www.ajunews.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