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정치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韓 "당장 단일화 결판" vs 金 "난데없이 청구서"…2차 회동 결렬(종합)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무소속 대선 예비후보인 한덕수 전 국무총리의 2차 단일화 회동이 성과 없이 끝났다.
한 전 총리는 "오는 11일까지 단일화를 반드시 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김 후보는 "난데없이 나타나 단일화 청구서를 내미느냐"고 맞섰다.


김문수·한덕수 후보는 8일 오후 4시30분 서울 여의도 국회 사랑재 야외 테이블에서 회동을 갖고 1시간여 동안 단일화 문제를 논의했다.
회담은 사전 합의에 따라 전체 생중계됐다.


한 전 총리는 "김 후보가 4월19일부터 5월6일까지 18일 동안 22번이나 '한덕수와 단일화하겠다'고 말했다"며 대선 후보 등록일인 오는 11일까지 단일화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전 총리는 "만약 제대로 (단일화를) 못 해내면 솔직히 속된 말로 김 후보님이나 저나 바로 가버리는 것"이라며 "참모들의 생각에 너무 얽매이지 말고 우리는 국가와 국민을 위해 일하는 사람이니까 잘해야 한다"고 했다.


한 전 총리는 이날 김 후보가 제안한 '일주일 선거운동 뒤 다음주 단일화' 방안에 대해선 "일주일 뒤에 하자는 건 단일화하지 말자는 이야기랑 똑같다"며 "당장 오늘내일 결판 내자. 방식은 당에서 하라는 걸 다 받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제발 일주일 뒤 이런 말 하지 말고, 당장 오늘 저녁, 내일 아침 하자는 거다.
왜 못하나"라며 "단일화가 잘 되면 전 즉각 국민의힘에 입당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김 후보는 "전 단일화를 늘 생각하고 한 번도 단일화를 안 하겠다고 한 적이 없다"며 "다만 오는 11일까지 단일화가 안 되면 본 후보 등록을 안 하겠다고 하셔서 상당히 놀랐다"고 말했다.


이어 "한 후보가 출마를 결심했다면 당연히 국민의힘에 입당하는 게 합당할 거라 생각하는데 왜 안 들어오시고 밖에 계셨나"라고 지적했다.


김 후보는 "저는 국민의힘 경선 과정을 거쳐 여기에 왔는데, 한 후보는 뒤늦게 나타나서 난데없이 11일까지 경선 완료하라는 말 아닌가"라며 "왜 다 끝나고 나타나서 (단일화) 청구서를 내미나"라고 맞섰다.


한 전 총리는 '왜 국민의힘 경선에 참여하지 않았느냐'는 지적에는 "(경선) 당시 (한국은) 미국의 관세 폭탄에 방향도 잡지 못한 상황이었다"며 "그 시기에 무책임하게 (대통령 권한대행 자리를) 떨쳐버리고 '나는 대선이 더 중요하기 때문에 나가야겠다'고 하는 건 국민에 대한 예의가 아니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부처들과 열심히 노력해서 앞으로 어떻게 대응할 건지 정리한 뒤에 5월1일 사직하고 2일 출마를 선언한 거다.
그러니까 왜 국민의힘에 안 들어왔냐는 것은 정말 사소한 문제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후보는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하자 없이 선출된 후보에 대해 '단일화를 약속했는데 왜 안 하느냐'고 요구하는 건 전 세계 정당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라고 받아쳤다.


김 후보는 "입당도 안 하고, 단일화가 안 되면 후보 등록도 안 한다고 하는 분이랑 단일화를 하자는 것이냐"며 "만번 양보해서 단일화를 한다고 하더라도 최소한 (후보) 등록을 해서 선거운동을 하다가 단일화를 해야 한다는 것이 제 기본 생각"이라고 말했다.


두 후보는 1시간여에 걸친 대화에도 단일화 해법을 찾지 못하고 회동을 마쳤다.


회동 뒤 김 후보는 기자들과 만나 '한 전 총리가 즉각 국민의힘에 입당해 경선을 치르자고 하면 응할 거냐'는 질문에 "물론"이라며 "단일화가 안 되면 후보 등록 안 하겠다고 하는 후보와 단일화를 해야 한다고 (국민의힘 지도부가) 나서서 온갖 불법행위를 하는 건 역사상 없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김 후보는 국민의힘 지도부가 두 후보 간 단일화를 강행 추진하는 것에 대해선 "당에 해로운 행위"라며 "당의 공식 후보를 해치는 것에는 앞으로 엄중하게 문책하겠다"고 강조했다.


한 전 총리는 "단일화가 되지 않는 상태에서 국민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는 후보 등록하지 않는 것"이란 입장을 계속 유지했다.
다만 "전 단일화가 어느 쪽으로 되든 김 후보를 열심히 도울 것"이라며 "50년간 쌓아온 모든 것을 총동원해 힘을 모으겠다"고 했다.



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
최유리 기자 yr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