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허리디스크 비수술치료, 신경차단술과 성형술의 결정적 차이

허리디스크로 병원을 찾는 젊은 환자들이 점점 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 자료에 따르면 2021년 허리디스크 환자는 197만명으로 그중 40세 미만의 환자가 약 18.5%(36만명)를 차지했다.

이는 스마트폰과 컴퓨터 사용 시간이 길어지고, 잘못된 자세를 장시간 유지하는 생활습관으로 인해 허리에 지속적인 압력이 가해지면서 디스크 퇴행이 빨라지고, 결국 젊은 나이에도 추간판탈출증(허리디스크)으로 병원을 찾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허리디스크는 의학적으로 요추 추간판탈출증이라 불린다.
척추뼈 사이에 위치한 디스크가 반복적인 압력과 손상으로 밀려나와 주변 신경을 압박하면서 통증과 저림, 방사통 등을 유발한다.
서울바른세상병원 신경외과 전문의 이주환 원장에 따르면 주요 증상은 허리통증, 다리 저림, 엉덩이 통증, 감각 저하 등이 있으며, 심할 경우 다리에 힘이 빠지거나 걷기 어려운 신경학적 증상이 동반된다.

이 원장은 “종종 혼동되는 척추관협착증은 주로 고령층에서 발생하며, 서서히 진행되는 특징이 있으며 MRI를 통해 정확히 진단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원장에 따르면 허리디스크는 대부분 비수술 치료로도 충분히 증상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초기에는 약물치료, 도수치료, 물리치료 등 보존적 치료를 우선 시행한다.
하지만 증상이 지속되거나 호전이 없으면 주사치료로 넘어간다.
대표적인 비수술 치료법이 신경차단술과 신경성형술이다.

신경차단술은 염증과 부종이 발생한 신경 주변에 약물을 주입해 통증을 완화하는 치료법이다.
실시간 영상장치를 통해 정확한 부위에 약물을 주입하며, 시술 시간도 짧고 국소마취로 진행돼 일상 복귀가 빠르다.

신경성형술은 보다 적극적인 치료법으로, 특수 카테터를 삽입해 신경과 디스크 사이의 유착을 직접 박리하고 염증을 가라앉힌다.
시술 시간은 20~30분 정도로 짧고 고령자나 만성질환자도 부담 없이 받을 수 있다.
이주환 원장은 “두 시술 모두 절개가 없고 반복 치료가 가능하다”며 “그러나 통증이 호전됐다고 방심하면 안 된다.
올바른 자세 유지, 근력 강화 운동, 생활습관 개선이 병행돼야 재발을 방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하반신 마비나 대소변 장애 같은 신경증상이 나타나면 응급 수술이 필요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비수술적 치료로 충분히 관리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허리디스크 예방은 생활습관에 달려 있다.
장시간 앉아 있을 때는 중간중간 스트레칭을 하고, 올바른 자세와 허리 근육 강화 운동을 실천해야 한다.
무거운 물건을 들 때는 다리 힘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허리 주사치료 후에도 이러한 관리가 병행되지 않으면 통증은 쉽게 재발할 수 있다.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