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K푸드가 우리 집 앞에?…현지 ‘안방’ 찾아가는 한류 열풍



[스포츠서울 | 이소영 기자] ‘늦바람이 더 무섭다.
’ 한류 열풍이 콘텐츠를 넘어 K푸드로 영역을 확장한 가운데 한류가 비교적 늦게 유입된 말레이시아에도 국내 기업들이 속속히 진출하고 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발표한 ‘2025 말레이시아 진출전략’ 보고서를 살펴보면, 2016년부터 지난해 상반기까지 국내 기업의 말레이시아 투자 진출은 총 1203건으로, 4조8780억원에 달했다.
진출한 법인은 총 312개다.

말레이시아는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내 중산층이 가장 많은 지역인 데다 높은 구매력을 지닌 곳이다.
K푸드 산업의 핵심 시장으로 꼽히는 만큼 국내 기업들이 활발하게 투자하고 있다.

타깃 포인트는 2030세대. 실제로 말레이시아 2030세대의 81.6%가 한류 콘텐츠는 물론, 한국 관련 상품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당연히 한국 외식 프랜차이즈에 대한 수요도 꾸준히 증가세다.
국내 대표 편의점 CU는 2021년 말레이시아에 처음 진출한 이래 2023년 말까지 140여개의 매장을 열었다.
후발주자로 출발한 이마트24 역시 현재 48개 점포를 운영 중이다.

식음료 프랜차이즈 기업들의 잇따른 진출도 눈에 띈다.
무슬림 국가 특성상 돼지고기·소고기보다 닭고기를 찾는 소비자가 많다.
교촌에프앤비, BBQ, 네네 등 한국식 치킨 프랜차이즈 기업이 현지에 도전장을 내밀어 큰 성공을 거뒀다.
이밖에 K드라마 인기를 기반으로 진출한 달콤커피, 이삭토스트, 이디야커피 등도 젊은 세대를 불러 모으고 있다.



베어커리 업계도 말레이시아를 노린다.
프리미엄 베이커리 브랜드 뚜레쥬르가 쿠알라룸푸르 번화가에 위치한 대형 쇼핑몰에 ‘뚜레쥬르 선웨이 피라미드점’을 오픈했다.
그간 현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없던 K-베이커리를 콘셉트로 내세워 국내 스테디셀러 제품인 패스트리, 생크림 케이크뿐 아니라 현지 고객의 수요에 맞춘 샌드위치, 음료 등을 판매한다.

현지 반응도 뜨겁다.
최근 서울과 부산을 방문했다는 애플 팅(28·여)씨는 “한국에서 뚜레쥬르를 방문했다”며 “분위기도 좋았고 빵도 맛있어서 좋은 추억으로 남았는데 집 근처에 생겼다고 해서 놀랐다”고 전했다.
이어 “역시 맛있더라. 고급스러운 느낌도 나고 한국 드라마에서나 보던 카페를 근처에서 즐길 수 있어 만족스럽다”고 덧붙였다.

열혈한 K팝팬이라고 밝힌 20대 여성 옌지씨는 “한국 카페는 나에게 ‘성지순례’인데 한국을 직접 방문하지 못하는 아쉬움을 달랠 수 있는 점이 가장 좋다”며 “집에서도 가까운 거리라 부담 없이 들릴 수 있을 것 같다.
앞으로도 친구들과 종종 방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류 특수효과를 누리며 국내 기업들의 말레이시아 진출이 이어지고 있지만, 유럽·일본 등 기존 진출 기업에 비해 브랜드 파워는 다소 약한 실정이다.
과연 무궁무진한 잠재력을 가진 K푸드가 어디까지 성장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sshong@sportsseoul.com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占쎈Ŧ逾믭옙占�
HTML占쎈챷彛�
沃섎챶�곮퉪�용┛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