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 측 충격 없는 상황에서 산지 가격 매우 비정상적으로 오르고 있어
“서민 식탁과 밀접한 필수품목, 가격 결정 구조의 투명성 확보 필요해”
국내 달걀 가격이 5개월 만에 18% 급등하며 ‘에그플레이션(egg-flation)’ 우려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정부가 담합 등 불공정 거래 가능성을 제기하며 조사에 착수했지만, 가격 상승세는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다.
![]() |
기사 특정내용과 무관. 게티이미지뱅크 |
이는 지난해 말(약 3265원)보다 18%, 지난해 5월 말과 비교하면 약 15% 오른 수치다.
정부는 가격 급등의 원인을 찾기 위해 현장 점검을 예고했다.
정부 관계자는 “산지 가격이 오를 만한 뚜렷한 공급 요인이 없다”며, 1차 조사를 마친 후 출하 물량과 유통 마진 구조를 중심으로 본격적인 점검에 착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대한산란계협회가 지난 3월 한 달 사이 달걀 10개당 산지 가격을 34원 인상했는데, 이는 역대 최고 수준”이라며 “가격이 이처럼 급등할 특별한 이유가 없어 납득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2021년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로 전체 산란계의 약 4분의 1인 1670만 마리를 살처분했던 시기보다 현재 가격 상승 폭이 더 심각하다”며 “올 겨울에는 살처분된 닭이 약 490만마리에 그쳤다는 점에서, 현재의 가격 상승은 수급보다는 유통 또는 가격 책정 구조의 문제일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담합 여부 조사를 위한 관련 자료를 제출하고, 조사에 적극 협조하겠다는 방침이다.
![]() |
기사 특정내용과 무관. 게티이미지뱅크 |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정부가 지적했듯이 공급 측 충격이 없는 상황에서 산지 가격이 비정상적으로 오르고 있는 점, 2021년보다 더 큰 상승 폭은 시장 왜곡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이어 “달걀은 서민 식탁과 밀접한 필수품목인 만큼, 가격 결정 구조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필요 시 제도 개선까지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