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라이프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조용히 18% 오른 달걀값, 알고 보니 ‘역대급 꼼수’ 있었다?”

달걀 가격 상승, 단순 수급 불균형보단 인위적 가격 조정 가능성에 ‘무게’
공급 측 충격 없는 상황에서 산지 가격 매우 비정상적으로 오르고 있어
“서민 식탁과 밀접한 필수품목, 가격 결정 구조의 투명성 확보 필요해”


국내 달걀 가격이 5개월 만에 18% 급등하며 ‘에그플레이션(egg-flation)’ 우려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정부가 담합 등 불공정 거래 가능성을 제기하며 조사에 착수했지만, 가격 상승세는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다.

기사 특정내용과 무관. 게티이미지뱅크
31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특란 10개 기준 소매가격은 평균 3851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말(약 3265원)보다 18%, 지난해 5월 말과 비교하면 약 15% 오른 수치다.

정부는 가격 급등의 원인을 찾기 위해 현장 점검을 예고했다.
정부 관계자는 “산지 가격이 오를 만한 뚜렷한 공급 요인이 없다”며, 1차 조사를 마친 후 출하 물량과 유통 마진 구조를 중심으로 본격적인 점검에 착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대한산란계협회가 지난 3월 한 달 사이 달걀 10개당 산지 가격을 34원 인상했는데, 이는 역대 최고 수준”이라며 “가격이 이처럼 급등할 특별한 이유가 없어 납득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2021년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로 전체 산란계의 약 4분의 1인 1670만 마리를 살처분했던 시기보다 현재 가격 상승 폭이 더 심각하다”며 “올 겨울에는 살처분된 닭이 약 490만마리에 그쳤다는 점에서, 현재의 가격 상승은 수급보다는 유통 또는 가격 책정 구조의 문제일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담합 여부 조사를 위한 관련 자료를 제출하고, 조사에 적극 협조하겠다는 방침이다.

기사 특정내용과 무관. 게티이미지뱅크
전문가들은 이번 가격 상승이 단순한 수급 불균형보다는 유통 구조의 문제 혹은 인위적인 가격 조정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정부가 지적했듯이 공급 측 충격이 없는 상황에서 산지 가격이 비정상적으로 오르고 있는 점, 2021년보다 더 큰 상승 폭은 시장 왜곡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이어 “달걀은 서민 식탁과 밀접한 필수품목인 만큼, 가격 결정 구조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필요 시 제도 개선까지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먮뵒��
HTML�몄쭛
誘몃━蹂닿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