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 폐사… 초복 앞두고 닭고기 ↑
정부·관련기관, 물가 잡기 ‘총력전’
이례적인 폭염 장기화로 ‘먹거리 물가’에 비상등이 켜졌다.
이른 무더위에 채소와 과일은 물론 가축과 수산물까지 타격을 입으며 ‘히트플레이션(폭염발 인플레이션)’이 가시화하고 있어서다.
최근 일주일 새 수박 한 통은 3만원에 육박했고, 초복을 앞두고 축산 농가에서는 집단 폐사가 잇따르며 고기값도 오름세다.
13일 기상청에 따르면 이달 1~10일 전국 평균 폭염 일수는 5.5일로 이미 지난해 7월 기록(4.3일)을 넘겼다.
![]() |
13일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수박 옆에 ‘2만8990원’이란 가격표가 세워져 있다. 일찍 찾아온 폭염이 장기화하면서 최근 채소와 과일 가격이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뉴시스 |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수박 평균 소매 가격은 지난 11일 기준 1개에 2만9115원으로 3만원에 근접했다.
서울 시내에서는 3만원을 넘는 수박도 심심치 않게 보인다.
이는 1년 전과 비교하면 36.5% 비싸고, 지난해까지 최근 5년간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인 ‘평년 가격’과 비교하면 38.5% 높다.
일주일 전보다는 22.5% 오른 가격이다.
여름철 가격 변동폭이 큰 배추와 무 1개의 소매 가격은 각각 4309원, 2313원이다.
이는 폭염으로 ‘금배추’ 파동이 일었던 1년 전보다 10% 정도 저렴한 수준이다.
다만 일주일 새 배추와 무 가격이 각각 27.4%, 15.9% 오르는 등 최근 상승폭이 커져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는 상황이다.
축산물 가격 오름세도 심상치 않다.
축사 내 온도가 급격히 오르며 폐사하는 가축이 늘어나고 있어서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 10일까지 폭염으로 폐사한 가축은 돼지 2만마리, 가금류(닭·오리 등) 50만마리에 달했다.
초복(7월20일)을 앞두고 있어 가격 상승 압력은 더 커질 전망이다.
현재 닭고기 소매 가격은 ㎏당 6070원으로 1년 전 수준이지만 한 달 전보다 11% 올랐다.
이에 대응해 정부와 각 관련 기관들은 물가 관리를 위한 ‘총력전’에 나선 상황이다.
농식품부는 정부의 배추 가용 물량을 3만5500t 확보하고 농가 대상 배수 관리, 햇빛 차단 등 현장 기술 지도를 하는 등 공급 차원의 노력에 나서는 한편 유통업체들과 협력해 할인행사도 진행 중이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이날 충남 홍성군 양돈농가를 방문해 폭염 피해 대응 상황을 점검하고 “가축에 시원한 물을 충분히 공급해 주고, 축사 내 온도가 적정하게 유지되도록 환풍·냉방기 가동, 전기시설 점검 등을 충실히 해 달라”고 당부했다.
채명준 기자 MIJustice@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