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스타벅스코리아 국내 200여 지점 플라스틱 빨대 도입
2018년 종이 빨대 전면 도입 후 7년 만
![]() |
2018년 국내 식품업계 중 최초로 전국 매장에 종이 빨대를 전면 도입했던 스타벅스가 플라스틱 빨대를 매장에 다시 배치하기 시작했다. /스타벅스 코리아 |
[더팩트|오승혁 기자] 2018년 국내 식품업계 중 최초로 전국 매장에 종이 빨대를 전면 도입했던 스타벅스가 플라스틱 빨대를 매장에 다시 배치하기 시작하면서 눈길을 끌고 있다.
25일 스타벅스코리아는 전국 200개 매장에 플라스틱 빨대와 종이 빨대를 함께 비치했다. 도입된 플라스틱 빨대는 스타벅스 음료 중 톨(355㎖)·그란데(473㎖) 사이즈 음료에 적용되는 크기다. 가장 일반적인 크기인 톨 사이즈 음료와 이보다 한 단계 더 커서 고객들이 주로 사이즈 업그레이드를 통해 주문하는 그란데 사이즈 음료에 쓰이는 빨대를 비치해 활용도를 높였다.
스타벅스가 이번에 배치한 플라스틱 빨대는 석유계 원료가 아닌 식물성 원료를 기반으로 생산됐다. 스타벅스가 플라스틱 빨대로 복귀한 이유는 종이 빨대를 도입한 뒤 소비자들 사이에서 "종이 빨대를 음료에 꽂고 시간이 지나면 빨대가 흐물거리면서 분해되거나, 음료 맛이 변한다"는 민원도 끊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한 환경부가 종이 빨대를 종이로 분리 배출하지 말고 일반 쓰레기로 배출하라고 안내하는 국내 실정 탓에 종이 빨대는 재활용도 불가능하다. 이외에도 생산 과정에서 플라스틱 빨대에 비해 더 많은 탄소를 배출한다. 그리고 주름을 이용해 빨대 상부가 구부러지는 플라스틱 빨대와 달리 종이 빨대는 구부러지지 않아 질병이나 장애가 있는 이들의 이용이 어렵다는 지적도 뒤따른 바 있다.
스타벅스는 이런 점을 감안해 이날 플라스틱 빨대가 배치된 200여개의 매장을 노약자와 영유아가 많은 병원 근처, 주거 지역을 중심으로 선정했다. 이어 플라스틱 빨대의 재활용 활성화를 위해 매장 내 음료 반납대에 플라스틱 빨대 수거함도 배치했다.
스타벅스 관계자는 "종이 빨대 사용에 어려움이 있는 고객들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해 병원이나 주거상권 200여개 매장 중심으로 식물유래소재 플라스틱 빨대를 시범 도입한다"며 "플라스틱 빨대는 일반적인 석유계가 아닌 식물성 소재 사용으로 탄소배출량을 저감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