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경제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LS전선, 세계 최대 송전 용량 HVDC 케이블 상용화 성공


한국전력 동해안-수도권 송전망 1단계 단독 공급

LS전선이 세계 최대 송전 용량 초고압직류(HVDC) 케이블 상용화에 성공했다. LS전선 직원이 구미 공장에서 초고압 직류(HVDC) 케이블을 테스트하는 모습. /LS전선
LS전선이 세계 최대 송전 용량 초고압직류(HVDC) 케이블 상용화에 성공했다. LS전선 직원이 구미 공장에서 초고압 직류(HVDC) 케이블을 테스트하는 모습. /LS전선

[더팩트ㅣ최의종 기자] LS전선이 세계 최대 송전 용량 초고압직류(HVDC) 케이블 상용화에 성공했다.

LS전선은 국내 최대 HVDC 사업 한국전력 동해안-수도권 송전망 1단계에 단독 공급한다고 9일 밝혔다. 525kV급 고온형 HVDC 케이블로, 도체 허용 온도를 기존 70℃에서 90℃로 높여 송전 용량을 최대 50%까지 올렸다. 9월 동해안-수도권 HVDC 1단계 지중 구간에 투입된다.

양산 제품이 실제 송전망에 적용된 첫 사례다. 동해안-수도권 송전망 프로젝트는 동해권 발전 전력을 수도권으로 이송하기 위한 국가 핵심 전력망 사업이다. 1단계는 동해안-신가평 변환소 구간이다. 수도권까지 연결하는 2단계도 추진 중이다.

HVDC는 기존 교류(HVAC)보다 송전 손실이 적고, 최대 3배 많은 전력을 장거리로 전달할 수 있어 탄소중립 시대의 핵심 기술로 꼽힌다. 글로벌 시장은 2018년 1조8000억원에서 2030년 41조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LS전선은 2008년 HVDC 케이블 개발에 착수했다. 유럽(1950년대)과 일본(1990년대)보다 후발 주자인 셈이다. 그러나 약 10년 만에 선도기업으로 도약했다는 평가가 있다. 현재 해당 기술을 상용화한 기업은 전 세계 6곳뿐이다. 국내에서는 LS전선이 유일하다.

이인호 LS전선 기술개발본부장(CTO)은 "HVDC 시장의 경쟁력은 상용화 기술 확보에 달려 있다"라며 "LS마린솔루션과 서해안 HVDC 에너지고속도로·동해안-수도권 2단계·독일 테네트 프로젝트 2단계 등 국내외 주요 사업에 적극 참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bell@tf.co.kr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