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美, 철강·알루미늄 관세 50%로 인상…한국 철강업계 경쟁력 '뚝뚝'


미국 국가별 철강 수입 4위…현지 업체 경쟁 '심화'
업계 "정부와 기업이 함께 대응책 마련해야"


3일(현지시간) 백악관이 배포한 포고문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철강·알루미늄 제품과 파생 알루미늄 제품 수입 관세율을 25%에서 50%로 인상하는 포고문에 서명했다. /AP·뉴시스
3일(현지시간) 백악관이 배포한 포고문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철강·알루미늄 제품과 파생 알루미늄 제품 수입 관세율을 25%에서 50%로 인상하는 포고문에 서명했다. /AP·뉴시스

[더팩트ㅣ최의종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철강·알루미늄 제품 관세율을 25%에서 50%로 인상하는 포고문에 서명했다. 가뜩이나 부담스럽던 관세가 갑자기 두 배로 높아지면서 국내 철강업계 경쟁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3일(현지시간) 백악관이 배포한 포고문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철강·알루미늄 제품과 파생 알루미늄 제품 수입 관세율을 25%에서 50%로 인상하기로 했다. 관세율은 한국시간으로 4일 오후 1시 1분부터 발효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2월 포고령에서 수입되는 해당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해 알루미늄 제품과 파생 알루미늄 제품 수입을 조정하기로 했다"라며 "최신 정보를 검토한 결과 철강 등 제품 수입을 조정해 안보를 저해할 위협이 되지 않도록 인상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고 말했다.

미국 상무부 산하 국제무역청(ITA) 통계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캐나다가 22.7%로 미국 국가별 철강 수입 비중이 가장 높은 국가다. 뒤이어 브라질이 15.6%, 멕시코가 12.2%다. 한국은 9.7%로 4위로 집계됐다.

관세 정책은 자국 업계를 중국으로부터 보호하려는 조치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멕시코와 베트남 등을 통해 철강 제품을 미국에 우회로 수출하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행보라는 평가다. 캐나다와 멕시코는 자국 수요를 저가 중국산으로 충당하고 있다.

관세율 인상으로 국내 철강업계가 미국 시장에서 장기적으로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 나온다. 미국 시장은 지난해 물량 기준 일본과 인도에 이은 세 번째로 큰 시장이다. 업체별 대미 수출 비중은 포스코가 10% 미만, 현대제철이 5% 미만, 세아베스틸이 5% 미만이다.

업체별 대미 수출 비중은 포스코가 10% 미만, 현대제철이 5% 미만, 세아베스틸이 5% 미만이다. 현대제철 당진제철소 전경. /현대제철
업체별 대미 수출 비중은 포스코가 10% 미만, 현대제철이 5% 미만, 세아베스틸이 5% 미만이다. 현대제철 당진제철소 전경. /현대제철

국내 업체는 중국 저가 공세로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악재가 겹쳤다. 관세율이 50%까지 오르면 가격 경쟁력이 현지와 비교할 때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의견이 많다. 포스코와 현대제철 등은 미국 수출 비중이 적지만, 장기적으로는 부정적일 수 있다는 이야기다.
일각에선 미국 정부가 관세율을 올리면 중국 입지 약화에 따른 한국 등 국가에 점유율 확보 차원에서 긍정적 영향이 있을 수 있다는 평가도 있다. 하지만 미국 외 시장으로 눈을 돌린 중국 공세가 심화하면 국내 철강업체 경쟁력은 떨어질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한편으로는 국내 철강업계 현지화 전략에 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현대제철의 미국 루이지애나 일관제철소 건립에 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의견이다. 포스코는 현대제철 현지 제철소 건립 프로젝트에 지분 투자 방식으로 참여한다고 밝힌 상태다.

다만 자금이나 시기를 고려하면 현지화 전략도 쉽지 않을 수 있다는 반론도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현지화를 가속하는 것이 맞을 수 있겠지만 여력이 있는 업체가 많지 않고 현지화를 추진하는 업체도 자금 조달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국내 철강업계가 국내에서 허리띠를 더욱 졸라맬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포스코홀딩스는 오는 2026년까지 유휴 자산을 매각해 해외 현지 시설 투자 자금을 마련하고 있다. 현대제철은 최근 수익성 차원에서 중기사업부를 매각했다.

업계 관계자는 "다른 시장과 비교해 미국 시장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품목별 관세 부과 변화에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정부와 기업이 함께 대응책 마련에 힘을 써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bell@tf.co.kr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占쎈Ŧ逾믭옙占�
HTML占쎈챷彛�
沃섎챶�곮퉪�용┛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