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와 통상협의 긍정적 물꼬 불구
상호관세 불확실성 여전한 숙제
품목별 관세·조선업 협력 문제 등
금주부터 실무협상에 돌입할 듯
미국산 에너지 수입 등 쟁점 전망
韓 “관세 폐지 목표로 협상 추진”
미국과의 통상협의를 위한 큰 틀이 짜이면서 ‘7월 패키지’ 합의를 위한 본격적인 ‘샅바싸움’이 시작됐다.
우리 정부는 미국과의 통상협의에서 긍정적인 물꼬를 텄지만, 7월 패키지 합의를 통해 상호관세라는 불확실성을 풀어야 한다는 사실은 여전한 숙제다.
당장 품목별 관세 인하 및 폐지, 조선업 협력 문제, 미국산 에너지 수입 확대 등을 두고 이번 주부터 실무협상에 돌입할 것으로 관측된다.
![]() |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 자동차전용부두에 수출용 차량들이 세워져 있는 모습. 뉴스1 |
우리 정부는 이번 협의를 통해 △관세·비관세 조치 △경제안보 △투자 협력 △통화정책 등 4개 분야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한다는 원칙적 합의를 이끌어 냈다.
특히 미국이 비관세 장벽 중 하나라 주장하는 환율 문제는 기획재정부와 미국 재무부에서 별도 채널로 논의하기로 했다.
양국은 미국의 90일 상호관세 유예가 종료되기 전인 7월8일까지 관세 폐지를 목표로 협상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한·미 양측은 협의가 끝난 뒤 “상당히 좋은 출발”(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매우 성공적”(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 등 긍정적 평가를 내놨다.
이번 협상에서는 그동안 미국이 꾸준히 문제로 삼았던 사과·배 등 과일 검역 문제, 유전자변형생물체(LMO) 농산물 수입 규제, 미국산 소고기 수입 시 30개월 미만 월령 제한 등이 테이블에 오를 것이란 관측이다.
여기에 지도 반출 문제, 데이터망 사용료 등 디지털 조치 등 미 무역대표부(USTR)의 국가별 무역장벽보고서(NTE)에 포함됐던 사항들도 ‘7월 패키지’에 담길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이 요구할 투자협력 사안으로는 대표적으로 알래스카 가스전 개발 및 액화천연가스(LNG) 구매 문제가 예상된다.
알래스카 천연가스 개발은 사업비가 약 440억달러(약 63조원)에 달하는 대형 프로젝트이나 사업성이 불투명한 게 걸림돌이다.
알래스카 LNG 장기 고객 확보가 사업 성공 여부에 주요 변수 중 하나인 미국은 수주 내에 우리나라와 일본 등에 공식 입장을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산업부는 알래스카 LNG 도입을 검토할 실사단을 곧 파견해 사업성을 들여다볼 계획이다.
산업부는 통상협의 세부 논의를 위해 이번 주부터 USTR과 실무협의를 개최하고 제이미슨 그리어 USTR 대표가 다음달 우리나라를 방문해 추가 고위급 협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 |
한·미 2+2 통상협의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왼쪽 세번째)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네번째)이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재무부에서 열린 ‘한·미 2+2 통상협의’에서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오른쪽 두번째),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 대표(〃 세번째)와 회의를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직전 분기 대비·속보치)은 -0.2%로 3분기 만에 역성장을 기록했다.
유례없는 4분기 연속 ‘0%대 이하’ 성장이다.
여기에 민간소비는 0.1%, 건설·설비투자는 각각 3.2%·2.1% 쪼그라들었고 수출은 1.1% 감소했다.
민간 경기 부진 흐름에도 정부소비마저 0.1% 줄며 큰 도움이 되지 못했다.
정부는 12조원 규모의 필수 추경을 추진하고 있지만 경기 상황에 비춰 규모가 작고 골든타임을 놓쳤다는 지적이 뒤따른다.
하지만, 관세 협상의 최종 타결을 가급적 늦추는 것이 우리에게 더 유리하다는 분석도 있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을 향한 비판이 미국 안팎에서 거세지는 만큼 시간이 지날수록 상대적으로 미국의 협상력이 약해질 수 있다는 논리다.
다만, 미국 측은 서둘러 합의를 이끌어내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베선트 장관은 이르면 이번 주 ‘양해에 관한 합의(agreement on understanding)’에 이를 수 있다며 “우리는 생각했던 것보다 빠르게 움직일 수 있다”고 말했다.
세종=안용성 기자, 박유빈 기자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