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알리익스프레스 등 중국 이커머스의 공습에도 국내 이커머스가 시장을 지켜냈다. 배송과 품질, 서비스 등에서 좋은 평가가 나오면서 국내 이커머스가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았다. 26일 데이터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해 이커머스 플랫폼별 연간 신용카드 결제추정액은 쿠팡이 35조3716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G마켓과 11번가는 각각 4조9599억원, 4조1268억원으로 집계됐다. 알리는 1조3517억원이었다. 월평균 활성 이용자(MAU) 수도 쿠팡이 3096만명으로 1위였다. 지난해 와우 멤버십 월 회비를 4990원에서 7890원으로 올리면서 회원 이탈 우려가 제기됐으나 이용자수는 더 늘었다. 다만, 알리가 663만명, 테무가 586만명으로 3, 4위에 이름을 올렸다. 2023년 각각 393만명, 111만명과 비교해 각각 68.8%, 428.7% 급증한 것이다. 충성도 높은 고객의 구매활동 정도를 가늠하는 1인당 평균 결제추정액은 SSG닷컴이 13만1772원, 쿠팡이 9만5166원이었다. 알리와 테무는 각각 1만6849원, 7053원에 불과했다. 1인당 결제추정액이 낮은 것은 저렴한 제품이 많은 데다, 호기심에 알리·테무를 이용했다가 안전성이나 배송 불만 등으로 지속적인 구매로 이어지진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쿠팡은 ‘로켓배송’으로 만족도가 높고, SSG닷컴은 이마트와 신세계백화점 등과 같은 오프라인 계열사 상품을 온라인으로 살 수 있다는 점이 강점이다. 올해 이커머스 시장에는 지각변동이 예고됐다. 신세계그룹과 중국 알리바바그룹이 전략적 동맹 관계를 맺고 G마켓과 알리를 자회사로 두는 합작법인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랜드오푸스홀딩’가 G마켓과 알리의 지분을 각각 100% 보유하게 될 예정이다. 공정거래위원회가 합작회사 승인 여부를 심사 중이다. 알리와 G마켓 MAU가 합쳐지면 1000만명이 넘을 전망이다. 이진경 기자 ljin@segye.com
|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