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경제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단독]연임 의지 내비친 오화경 저축은행회장 "PF 매매·서민금융 할일 많다"
아시아경제 기사제공: 2025-01-26 08:30:00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매매와 소상공인·자영업자 금융지원 등 '할 일'(현안)이 쌓여있다며 연임 의지를 조심스럽게 내비쳤다.
다음 달 16일 임기가 종료되는 오 회장의 후임(20대) 회장 선거와 감사, 전무 등 중앙회 임원 인선이 더뎌지는 가운데 업계에서도 오 회장 유임을 바라는 기류가 감지된다.
금융당국과 중앙회 이사회 간 교류가 이전 선거보다 더뎌지는 이유는 당국이 뚜렷한 후보자를 중앙회 이사회에 추천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는 시각이 크다.


25일 오 회장은 본지와의 전화 통화에서 "업계의 과제들이 있고 그동안 해놓은 것도, 해야 할 것도 많은 상황이라 (연임에) 관심 있다"고 말했다.
그는 '차기 회장이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역할은 예금보험료율 조정 같은 업계 숙원 해결인지 PF 등 현안 관리인지'에 대한 질문에 "첫째는 PF, 브릿지 관련 부실 자산을 시장에 매각하는 문제고 둘째는 (중금리 대출 등) 서민금융과 관련해 어느 정도 공급을 해줘야 하는 부분"이라고 했다.
이어 "예보율 문제는 저축은행 사태 이후 누적된 결과물이 반영된 것이어서 (당국이) 정책적으로 결정해야 할 문제"라고 했다.


업계에서는 현재 임기 만료 3주 전까지 회장 후보 하마평조차 나오지 않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고 한목소리를 냈다.
오 회장 연임을 지지하는 목소리도 들린다.
오 회장은 19대 회장 임기 3년간 예보료율 인하, 저축은행 양극화 해소 같은 굵직한 '진흥 정책'을 관철하기보다는 부동산PF 뱅크런(예금 대량 인출) 리스크 차단 같은 현안 해결에 주력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 와중 인수합병(M&A) 지원, 저축은행 디지털 전환(DX) 등 공약 이행도 어느 정도 해냈다는 평가다.


서울의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지금은 평시와 달리 PF 리스크 등으로 업황이 좋지 않은 상황"이라며 "관(官) 출신이든 민간 출신이든 오 회장 연임이든 회장을 빨리 뽑아 업계 의견을 시행령에 한 줄이라도 더 반영할 수 있는 회장을 빨리 뽑을 때"고 했다.


현재로선 오 회장 임기 만료 전 20대 회장 선임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금융당국, 중앙회, 업계 취재 결과 이날까지도 중앙회 선거관리위원회와 회장추천위원회 구성에 필요한 절차인 임시총회 개최 움직임은 감지되지 않았다.
오 회장 연임 여부에 관한 이사회 교감, 금융당국의 회장 후보자 추천, 업계 입후보자 취합 작업 등에 속도가 붙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
차기 회장 선거는 물론 통상 금융감독원이 추천하는 신임 전무, 감사 등 후임 임원 인사도 지지부진한 것으로 확인됐다.


중앙회에 따르면 중앙회 이사회가 선관위, 회추위 조직 구성에 대해 의결하면 회추위에서 최종 후보자를 선임한다.
지원자 중 적임자를 회추위에서 추린다.
통상 이 과정에서 금융당국이 적임자를 이사회에 추천한다.
당국과 업계의 의견을 들은 뒤 회추위가 후보자에게 서면 자료를 받고 필요시 인터뷰까지 한 뒤 단수 또는 복수로 차기 회장 후보를 추천한다.
이 작업은 최소 한 달(30일)이 걸린다.
다음 달 16일까지 절차를 마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의미다.
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차라리 금융당국이 후보자 추천을 중앙회 이사회에 빨리해주길 바란다는 목소리도 들린다.


중앙회 고위관계자는 "금융당국이 선거를 준비해 달라고 특정 인사를 추천하면 그때부터 일이 시작된다"며 "아무리 선관위, 회추위 임시총회 개최 절차를 빨리 진행해도 후보를 추린 뒤 입후보자를 공고하기까지 최소 30일은 걸리기 때문에 오 회장 임기 만료 직후 20대 회장 선임을 하는 것은 사실상 어렵다"고 말했다.


다만 오 회장 연임 여부와 별개로 당국에서는 더디더라도 적임자를 중앙회 측에 추천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중앙회는 상호저축은행법 25조에 따라 설립된 비영리 특별법인이고 취약·연체차주 지원, 자영업자 컨설팅 같은 공익 업무를 하는 조직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중앙회는 저축은행법상 비영리법인이니 중앙회장 선거는 (중앙회가) 알아서 할 일이지만, 세상에 알아서 하는 일은 없는 법"이라며 "검사 실무는 금감원이 하겠지만 (금융위도) 통상적으로 지도·감독을 하는 만큼 금융당국 소관과(중소금융과)의 목소리가 중요하게 작용할 것"이라고 귀띔했다.


금융위는 이해상충 문제 등으로 인해 소관과는 선거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금융위 관계자는 "저축은행중앙회는 물론 어떤 금융 산업 협단체장 선거에도 실무과는 개입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문채석 기자 chaes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아시아경제(www.asiae.co.kr)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占쎌쥙�ν걫占쎌뼔占쏙옙�용쐻�좑옙
HTML占쎌쥙�ο㎖猷잜맪�좑옙
雅�퍔瑗띰㎖�곗삕�⑨옙��뜝�뚯뒠占쏙옙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