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경제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이병재 예보 이사 "금안계정, 한은 기능과 보완적…채권 보증 통한 안정 기대"  
아주경제 기사제공: 2025-01-24 06:00:00
이병재 예금보험공사 이사사진예금보험공사
이병재 예금보험공사 이사[사진=예금보험공사]
“예금보험공사 금융안정계정(금안계정)은 한국은행의 RP(환매조건부채권) 매입 등 단기 유동성 공급과 함께 상호 보완적으로 시장 안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병재 예금보험공사 이사는 최근 아주경제와 만나 “금융시장이 디지털화하며 변동성이 커졌기에 시장 안정 기능은 세밀하고 중첩적일수록 좋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이사는 금융정리부 부장, 기금관리단장 등 요직을 두루 거치며 예보 내에서도 예금자 보호와 정리 업무 분야 최고 전문가로 꼽힌다.
 
금안계정은 예보기금을 활용해 일시적 유동성 위기를 겪는 금융사 등에 선제적으로 자금을 지원하는 장치다.
주로 채권 지급 보증을 통해 장기적으로 자금을 시장에 공급하기 때문에 위기 상황 시 채권시장 안정을 기대할 수 있다.
  
이 이사는 MG손해보험 매각도 담당하고 있다.
예보는 2022년 MG손보가 부실금융기관으로 결정된 이후 금융위에서 공개매각을 위탁받아 매각을 진행 중이다.
예보는 지난달 MG손보 매각을 위한 우선협상대상자로 메리츠화재를 선정했지만 매각을 위한 첫 단계인 실사도 하지 못한 상황이다.
MG손보 노조가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이 잘못됐다며 실사 반대에 나섰기 때문이다.
 
이 이사는 우협 선정이 메리츠화재에 유리하게 이뤄졌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일축했다.
이 이사는 “모든 예비인수자들에게 자산부채이전(P&A)과 인수합병(M&A) 방식을 모두 제시해 희망하는 방식을 선택하도록 했다”며 “공사는 예금자보호법에 따른 기금손실 최소화 원칙과 국가계약법에서 정한 절차에 따라 공정하게 매각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이사는 현재 매각 작업이 원활히 이뤄지지 않으면 청파산 조치를 밟을 수 있다고도 경고했다.
예금보험금 지급 이후 청·파산이 된다면 보험계약자에게 손해가 발생하는 것은 물론 회사가 정리되면서 MG손보 근로자의 고용불안도 더 심화할 수 있다.
이 이사는 “매각이 되지 않는 기간이 길어질수록 MG손보 영업력이 악화되고 회사 가치가 떨어지게 돼 보험계약자의 불안은 커질 수밖에 없다”며 “보험 계약자 124만명을 보호하기 위해 최후까지 노력을 하겠다는 비상한 각오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아주경제=신동근 기자 sdk6425@ajunews.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아주경제(www.ajunews.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