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경제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한국인의 밥심 어디로?”…‘삼시 한끼’만 쌀 먹는 한국인
세계일보 기사제공: 2025-01-24 05:00:00
지난해 1인당 쌀 소비량 ‘역대 최소’ 기록 경신…하루 소비량 즉석밥 1개 수준

지난해 우리나라 1인당 쌀 소비량이 역대 최저치를 기록하며 감소세를 이어갔다.
반면 식료품 제조업에서의 쌀 소비는 증가해 대조를 이뤘다.

지난해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이 역대 최저인 55.8kg인 것으로 나타났다.
30년 전과 비교하면 절반으로 내려앉았다.
연합뉴스

2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양곡 소비량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평균 55.8㎏으로, 전년 대비 0.6㎏(-1.1%) 감소했다.
농가의 연간 쌀 소비량은 83.3㎏, 비농가는 54.5㎏으로 각각 2.3%와 0.9%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994년 1인당 소비량(120.5㎏)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치로, 쌀 소비량 감소가 장기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1인당 쌀 소비량은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62년 이래 매년 역대 최저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다.

쌀 외 기타 양곡을 포함한 1인당 연간 양곡 소비량 역시 64.4㎏으로, 전년 대비 0.2㎏(-0.3%) 감소했다.
이를 하루 단위로 환산하면 1인당 152.9g으로, 전년보다 1.7g 줄어들었다.

쌀을 밥으로 지었을 때 수분량이 포함돼 부피가 약 두 배로 늘어난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는 하루에 즉석밥(300g) 한 개 분량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식료품·음료 제조업 부문에서의 쌀 소비량은 증가했다.
지난해 해당 부문의 쌀 소비량은 87만3363톤으로, 전년 대비 6.9% 늘어났다.

업종별로는 주정 제조업이 전체의 26.2%를 차지하며 가장 큰 비중을 기록했다.
이어 떡류 제조업(22.9%), 기타 식사용 가공처리 조리식품(18.6%), 기타 곡물가공품 제조업(10.0%) 순으로 집계됐다.
에틸알코올 등을 생산하는 주정 제조업의 쌀 소비량은 2023년 19만7102톤에서 지난해 22만8595톤으로 16.0% 증가했다.

정부는 쌀 소비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각적인 정책을 추진 중이다.
우선 올해 하반기부터 국내에서 판매되는 즉석밥과 냉동밥에 수입쌀, 정부 공공 비축미 사용을 금지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당해 생산한 국내산 쌀 사용을 의무화하고 쌀 소비를 촉진하겠다는 계획이다.

쌀 재배 면적을 줄이기 위한 조정제도 실시한다.
올해는 여의도 면적의 약 276배에 해당하는 8만㏊(전체 벼 재배 면적의 11.5%)를 감축할 예정이다.
정부는 각 시·도가 자체 감축 계획을 수립하면 농가별로 조정 면적 통지서를 발송하고, 이행 상황을 점검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감축을 독려하기 위해 밀·콩 등 전략작물의 지급 면적과 단가를 확대하고, 지급 대상 작물에 깨를 추가하는 방안도 시행된다.
감축 목표를 초과 달성한 농가에는 기본 직불금 지급 시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정부의 정책으로 민간 쌀 사용이 확대되면 시장 내 쌀 소비량은 증가할 전망이다.
민간 쌀은 공공 비축미보다 약 2배, 수입쌀보다 약 4배 더 비싸 즉석밥·냉동밥의 가격 인상 가능성도 제기된다.

전문가들은 "소비자 물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정부와 관련 업계가 해결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먮뵒��
HTML�몄쭛
誘몃━蹂닿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