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SI, 제조업에서 상승·비제조업은 하락 2월 상승 전망…“트럼프 리스크 완화 기대”
기업들의 체감 경기가 석 달째 하락세를 이어가며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한국은행이 23일 발표한 ‘2025년 1월 기업경기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전산업 기업심리지수(CBSI)는 전월 대비 1.4포인트 하락한 85.9를 기록했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인 2020년 9월(83.4)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 서울 강남구 가로수길 상가에 임대 문구가 부착되어 있다. 뉴시스 | 지난해 11월 CBSI는 전월 대비 소폭 하락하며 91.8을 기록한 뒤 비상계엄 사태가 있던 12월 87.3로 급락했다. 1월까지 포함하면 석 달째 하락세다. CBSI는 장기평균(2003∼2023년)인 기준값 100보다 높으면 낙관적, 낮으면 비관적임을 뜻하는데 지난해 하반기 들어 100을 넘었던 적이 없다. 이달 CBSI는 제조업에서 상승하고 비제조업에서 하락했다. 제조업 CBSI는 89.0으로 전월 대비 1.9포인트 오른 반면 비제조업은 전월 대비 3.9포인트 하락한 83.6을 기록했다. 이런 흐름은 1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에서도 확인됐다. BSI 중 제조업 실적은 화학물질·제품과 전기장비, 1차금속 등의 수출 개선을 중심으로 소폭 개선됐다. 비제조업 실적은 건설업과 정보통신업의 매출 감소와 유가·환율 상승에 따른 비용 부담에 운수창고업 등을 중심으로 악화했다. BSI와 소비자동향지수(CSI)를 합성한 2월 경제심리지수(ESI)는 전월보다 3.4포인트 오른 86.7을 기록했다. 순환변동치는 88.1로 전월보다 1.3포인트 하락했다. 다음 달 기업심리지수는 현재보다 나아질 것으로 보인다. 2월 기업심리지수 전망은 전월대비 2.5포인트 상승한 85.4로 조사됐다. 제조업 기업심리지수 전망은 전월대비 3.6포인트 상승한 89.1로, 비제조업은 전월대비 1.7포인트 상승한 82.6으로 조사됐다. 황희진 한은 경제통계국 통계조사팀장은 “미국 신정부에 대한 큰 리스크 전망이 많이 있었는데, (2월 전망치에선) 약간 완화 기대감이 반영돼 조금 상승한 것 같다”며 “내수 부진은 비제조업에 마이너스 요인이라 해소되려면 정치적 불확실성이 같이 해소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윤솔 기자 sol.yun@segye.com?
|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