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비제조업↓
![2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기업경기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전사업 기업심리지수(CBSI)는 전월 대비 1.4포인트 하락한 85.9로 집계됐다. /더팩트 DB](//cdn2.ppomppu.co.kr/zboard/data3/tf_news/2025/0123/202597221737589094.jpg) | 2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기업경기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전사업 기업심리지수(CBSI)는 전월 대비 1.4포인트 하락한 85.9로 집계됐다. /더팩트 DB |
[더팩트ㅣ이라진 기자] 올해 1월 국내 기업들의 체감 경기가 석달 연속 악화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맴돈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기업경기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전산업 기업심리지수(CBSI)는 전월보다 1.4포인트 하락한 85.9를 기록했다. 해당 지수는 지난해 10월 92.5에서 11월 91.8로 내렸고, 비상계엄 사태가 있던 12월 87.3으로 떨어졌다. 올해 1월 들어서도 하락세가 멈추지 않았다. 그 결과 지난 2020년 9월(83.4)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 두 달째 지속됐다. CBSI는 기업경지실사지수(BSI) 가운데 주요 지수(제조업 5개·비제조업 4개)를 바탕으로 산출한 심리 지표다. 장기 평균인 100을 웃돌면 경제 전반에 대한 기업 심리가 낙관적, 반대로 밑돌면 비관적이라는 뜻이다. 산업별 지수 흐름은 다소 엇갈렸다. 1월 제조업 CBSI는 89.0으로 전월보다 1.9포인트 상승했다. 구성 지수 중 제품 재고(+1.7포인트), 업황(+0.2포인트) 등이 주요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반면 비제조업 CBSI는 채산성(-1.9포인트), 매출(-1.1포인트) 등을 중심으로 전월보다 3.9포인트 하락한 83.6을 기록했다. 한은은 제조업은 일부 업종의 수출 개선에 힘입어 올라갔으나, 비제조업은 건설경기 둔화 등으로 악화했다고 분석했다. 다만 2월 CBSI 전망치는 전산업(85.4), 제조업(89.1), 비제조업(82.6)에서 이달 전망치보다 2.5포인트, 3.6포인트, 1.7포인트씩 나란히 상승했다. 업종별 BSI 흐름을 보면 1월 제조업 실적은 화학물질·제품, 전기장비, 1차 금속 등의 개선이 두드러졌다. 비제조업은 건설업, 정보통신업, 운수창고업 등을 중심으로 실적이 악화했다. BSI와 소비자동향지수(CSI)를 합성한 1월 경제심리지수(ESI)는 86.7로 전월보다 3.4포인트 상승했다. 계절적 요인을 제거한 ESI 순환변동치는 88.1로 1.3포인트 하락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8~15일 전국 3524개 법인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 중 3312개 기업(제조업 1852개·비제조업 1460개)이 답변했다. rajin@tf.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