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경제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제2 무안참사 없게… ‘콘크리트 둔덕’ 없앤다
세계일보 기사제공: 2025-01-23 06:00:00
국토부, 7개 공항 방위각시설 개선
기초대 지하화·경량철골로 교체
안전구역 확대… 연내 완료 목표


최근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의 피해를 키운 원인으로 지목된 공항의 콘크리트 방위각시설(로컬라이저) 기초대가 지하화되거나 부러지기 쉬운 재질로 바뀐다.
활주로 주변의 위험한 시설물을 제거해 비상착륙 때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방위각시설 등 공항시설 안전 개선방안’을 22일 발표했다.
지난 2일 전남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현장에서 항공·철도사고 조사위원회(ARAIB) 관계자들이 로컬라이저(방위각 표시 시설)가 설치된 콘크리트 둔덕을 조사하고 있다.
무안=뉴시스
이달 전국 공항을 대상으로 진행된 특별 안전점검 결과 무안국제공항, 김해국제공항(2곳), 제주국제공항, 광주공항, 여수공항, 포항경주공항, 사천공항(2곳) 7개 공항에서 9개 방위각시설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토부는 이들 시설의 기초대를 지하화하는 방안과 경량철골 구조로 교체하는 방안을 설계 과정에서 모두 검토할 방침이다.
신속하게 추진 가능한 방안을 공항별로 채택해 상반기 개선을 추진하고, 불가피한 경우 연내 완료하는 것이 목표다.

활주로 안전구역이 권고 수준인 240m에 미달하는 7개 공항은 안전구역도 확대된다.
공항 내에서 충분한 안전구역 확보가 어려운 경우는 전문가 검토를 통해 활주로 이탈방지 시설(EMAS)을 도입할 예정이다.
항공기 무게로 시멘트 블록이 파괴되며, 항공기에 제동력을 제공해주는 시설이다.

이에 따라 무안국제공항은 이미 철거된 북측 콘크리트 둔덕을 포함해 모든 콘크리트 둔덕을 완전 철거하고 부러지기 쉬운 구조로 방위각시설을 재설치한다.

광주공항, 포항경주공항, 김해국제공항, 사천공항 등 방위각시설 기초대의 높이가 약 60∼90㎝로 비교적 낮은 공항들은 지하화하는 방안을 우선 검토한다.

여수공항은 방위각시설 둔덕이 약 4.0m로 높아 기존 둔덕을 제거하고 부러지기 쉬운 구조로 방위각시설을 재설치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백소용 기자 swinia@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먮뵒��
HTML�몄쭛
誘몃━蹂닿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