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월 골든타임 잡아야”…한국형 청년보장제 내놓은 정부 고용부, ‘2025년 청년고용 정책 방향’ 발표 “‘졸업 후 4개월’ 취업 골든타임으로 봐 25만 대졸예정자 조사…1:1 맞춤 지원 실업 기간 4개월 넘기 전 구직하게끔”
정부가 대학 졸업예정자, ‘쉬었음’ 청년, 직업계고 학생을 대상으로 맞춤형 정책 지원에 나선다. ‘쉬었음’ 청년(15∼29세) 인구가 지난해 42만1000명으로 2003년 대비 2만1000명 늘어나는 등 청년고용 지표가 악화하는 데 따른 조치다. 고용노동부는 22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5년 청년고용 정책 방향’을 발표했다. 우선 대학 졸업예정자를 대상으로 전국 120개 대학에 있는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에서 2월까지 졸업을 앞둔 재학생의 취업 여부와 서비스 수요를 전수 조사할 계획이다. 이 정보를 활용해 졸업 후 4개월 내 1대 1 맞춤 서비스 등 취업을 위한 서비스 제공에 나선다. |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 고용부는 ‘졸업 후 4개월’을 취업 골든타임으로 보고 있다. 유럽연합(EU)이 2013년 청년고용 활성화를 위해 ‘청년보장제’ 정책을 시행했는데 이 정책의 핵심도 실업 상태 청년이 4개월 내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하는 것이었다. 고용부는 EU에서 착안해 졸업 뒤 4달 이상 취업하지 않은 청년을 맞춤 지원하는 ‘한국형 청년보장제(유스개런티)’를 시행한다. 40여만명의 ‘쉬었음’ 청년에게는 지역 고용센터를 중심으로 관계부처, 지자체, 대학, 심리상담기관 등과 협력체계를 구축해 발굴 및 지원한다. 고용센터의 심리상담(6만4000건)과 직업진로지도도 확대한다. |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 직업계고 청년(졸업예정자 6만명)에게는 자신에게 맞는 일자리를 찾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진로·직업상담(1만5000명), 신산업 분야 특화 훈련(3600명), 직업계고 직무 특화 일 경험(신설 500명)을 실시한다. 졸업 직후 취업하는 2만명에게는 초기 2년간 최대 980만원을 지원해 직장에 정착하도록 돕는다. 고용부는 이날 서울 중구 로얄호텔서울에서 ‘2030 자문단 발대식’ 및 ‘제1차 청년고용촉진특별위원회’도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청년위원들은 “청년을 입체적인 대상으로 보고 청년이 원하는 양질의 일자리가 무엇인지 깊은 고민이 필요하다”며 “청년들이 원하는 다양한 경험과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지민 기자 aaaa3469@segye.com
|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