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산업 인공지능(AI) 확산을 위한 청사진을 내놨다. 인구 감소와 기술 경쟁 심화 등 산업 구조의 변화를 AI를 통해 극복하고, 제조·에너지·데이터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를 활용한 성공사례 창출과 신산업 발굴에 나선다는 구상이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관련 업계 전문가들로 구성된 AI산업정책위원회는 22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열린 제3차 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이 담긴 '산업 AI 확산을 위한 10대 과제'를 발표했다.
공동위원장인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이날 회의에서 "AI를 산업정책에 접목해 ‘산업 AI'를 확산시키는 시급한 과제를 완수하기 위해, 산업부는 작년부터 AI를 산업정책의 새로운 축으로 삼아 산업 AI 확산에 매진해 왔다"라며 "인구감소, 후발국의 기술 추격, 공급 과잉 등 우리 산업이 직면한 대내외 상황을 극복해 새로운 비즈니스와 신산업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우선 성공사례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cdn.ppomppu.co.kr/zboard/data3/hub_news2/2025/0122/newhub_2025012215174999354_1737526669.jpg)
이번에 제시된 10대 과제는 3대(성공모델·필수요소·인프라) 분야에서 세분화 한 것으로 ▲선도 프로젝트 ▲AI 에이전트와 피지컬 AI ▲산업 AI 컴퓨팅 인프라 ▲산업 데이터 ▲AI 반도체 ▲AI 인재 ▲전력 인프라 ▲산업 AI 자본 ▲AI 생태계 ▲산업 AI 제도 등이다.
주요 내용들을 보면 먼저 자율제조 분야 선도 프로젝트를 누적 기준 올해 말 60개, 2027년까지 200개를 선정하고, R&D(연구개발)·디자인·유통·에너지·공급망·안전 등 제조지원 선도 프로젝트를 신규 추진, AI를 산업 전반에 확산키로 했다. AI 성공사례 등 적용 과정상의 경험을 데이터베이스화한 인벤토리를 구축하고, AI 챌린지 대회를 개최 창의적인 AI 활용 사례를 창출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산업 AI 컴퓨팅 인프라와 관련해선 업종·지역 단위의 기업용 산업 AI 컴퓨팅 인프라를 국가 AI 컴퓨팅 센터와 연계·병행해 구축하기로 했다. 기업 수요를 반영해 주요 권역별(비수도권)로 AI 컴퓨팅센터를 구축하고, 연구 장비, 시험·인증 설비 등 AI 모델 실증 인프라를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영업비밀 유출 우려, 데이터 표준화 미비 등으로 기업간 데이터 교환이 어려운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산업데이터 은행' 제도를 구축한다는 계획도 내놨다.
또 반도체 기술 확보를 위해 높은 성능·전력효율로 AI 추론을 수행하는 반도체 개발을 지원키로 했다. 자동차·로봇 등 제품에 탑재하는 온디바이스 AI 반도체 개발사업에 투자하고 AI 반도체 제조에 필수인 상용화 설계기술, 차세대 패키징 기술 등 기반 기술 개발도 진행하기로 했다.
이밖에 AI 전력수요를 반영한 전력공급계획을 수립하고 AI 데이터센터 전용단지 조성 등 산업 AI에 친화적인 전력시스템도 구축하기로 했다. 고위험 기업 투자를 뒷받침할 가칭 산업 AI 기금도 조성할 예정이다.
![](//cdn.ppomppu.co.kr/zboard/data3/hub_news2/2025/0122/newhub_2025012215184099355_1737526720.jpg)
이날 AI산업정책위원회 소속 기술동향·미래산업·표준·정책제언 등 4개 분과위원회에선 각 분과위원장이 나서 AI 확산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기술동향 분과는 산업에 AI 적용을 위해 필요한 원천기술인 AI 파운데이션 모델 기술력에 있어 미국과 중국과의 격차가 큰 만큼 시장예측, 공급망·구매 효율화, 연구개발 등 12개 핵심과업을 중심으로 국내 수준, 미래발전방향 등을 도출해 추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미래산업 분과에선 자동차 조선, 철강 등에 AI가 접목될 경우 기대 효과를 제시하며 이를 위한 정책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역설했고 표준분과는 AI 신뢰성 확보와 국제 표준화 협력 방안 등을 추진해야 한다고 의견을 냈다.
정책제언분과는 AI 활용 확대를 위해 'AI 전환 촉진기금 설립', 'AI 혁신성장 이니셔티브 도입', '실무형 인재 100만명 등 인재양성 추진', 'AI 규제 대응을 위한 R&D 센터 구축 등을 제안했다.
공동위원장인 윤의준 한국공학한림원 회장은 "정책 과제를 구체화하고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는데 적극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세종=강나훔 기자 nahu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