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턴 비닐온실의 난방비를 최대 20% 줄일 수 있는 '에어로겔 다겹보온커튼' 설치 시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됐다. 기존 보온커튼보다 설비치는 비싸지만, 난방비 절감 효과가 커 1~2년이면 추가 비용을 회수할 수 있을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이상기후로 심해지는 겨울철 한파에 대응해 온실 난방비와 탄소 배출량을 줄이고, 작물 재배 환경을 개선하고자 개발한 에어로겔 다겹보온커튼에 대한 실용화를 추진한다고 22일 밝혔다.
이승돈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장은 "비닐온실은 겨울철 난방비가 경영비의 20~30%를 차지한다"며 "최근 이상기후로 인해 겨울철 한파가 자주 발생하고 있어 시설 난방비 절감 기술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cdn2.ppomppu.co.kr/zboard/data3/hub_news2/2025/0122/newhub_2025012213530699150_1737521586.jpg)
대부분의 시설재배 농가는 화학솜과 폴리에틸렌(PE) 폼 소재로 된 다섯 겹의 보온커튼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화학솜은 습기를 흡수하면 보온력이 떨어진다. 또 아침에 커튼을 걷을 때 솜이 머금고 있던 찬 물방울이 작물에 떨어져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생장이 멈추는 '순멎이현상'을 일으킨다. 폴리에틸렌 폼은 투습도가 낮아 온실 안 습도가 높아지는 문제를 유발한다.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농진청은 2018년 고성능 신소재인 에어로겔을 활용한 다겹보온커튼을 개발했다. 에어로겔은 나노 크기의 다공성(물질의 내부나 표면에 작은 구멍이 많이 있는 성질) 구조를 가진 물질로 매우 가볍고 단열성이 우수해 방위산업, 항공 분야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농진청은 2020년 해당 제조법에 대한 특허를 등록한 후 기업체에 기술이전 해 실용화 기반을 마련했다.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신기술보급사업으로 전국 57개 농가에 에어로겔 다겹보온커튼을 보급했다.
이 원장은 "토마토를 1㏊에서 재배하려면 한 달에 많게는 2500만 원까지 난방비가 드는 데 기존 보온커튼을 사용하면 1150만원을, 에어로겔 다겹보온커튼을 사용하면 1375만원을 절감할 수 있다"며 "에어로겔 다겹보온커튼 설치비는 1㎡당 1만4000원으로 기존 다겹보온커튼(1만 3000원)보다 약 8% 비싸지만, 난방비 절감 효과가 커 1∼2년이면 이 비용을 회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농진청에 따르면 신기술보급사업 참여 농가 중 1743㎡ 면적에 에어로겔 다겹보온커튼을 설치한 양평 딸기 농가와 2125㎡ 규모에 설치한 익산 딸기 농가는 기존 다겹보온커튼을 사용했을 때보다 1년 난방비를 400만원까지 절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부터는 설치비 지원도 받을 수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지원사업 시행 지침 '에너지절감 시설 지원 단가표'에 에어로겔 다겹보온커튼이 포함된 데 따른 것이다. 농진청은 앞으로 수명이 다한 기존 보온커튼을 교체할 농가들이 에어로겔 다겹보온커튼을 선택하도록 적극적으로 홍보할 계획이다.
이 원장은 "에어로겔 다겹보온커튼이 농가의 난방비 부담을 줄이고 생산성을 높이는 데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지속 가능한 농업을 위해 다양한 신소재를 이용한 농업용 보온자재를 개발해 보급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주상돈 기자 d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