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으로 미국 에너지 정책 변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태양광처럼 경제성을 갖춘 재생에너지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 정부와 기업들이 경제적 관점에서 에너지 변화 방향을 판단하고, 사업 기회를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cdn2.ppomppu.co.kr/zboard/data3/hub_news2/2025/0122/newhub_2025012210430198772_1737510181.png)
예룬 반 호프 PwC글로벌 에너지 유틸리티 앤 리소스 리더(파트너)는 지난 21일 서울 용산구 본사 2층 아모레홀에서 ‘트럼프 2.0, 글로벌 환경 변화에 따른 한국 에너지 시장 전망과 기업들의 대응 전략’을 주제로 열린 세미나에서 “재생에너지의 경우 트럼프 2기 이후 지역별, 전원별로 단기적 영향을 받을 수 있겠지만 장기적으로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라며 “특히 태양광처럼 이미 경제성을 갖춘 재생에너지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전망”이라고 말했다.
폴 닐슨 PwC글로벌 파워 앤 유틸리티 어드바이저리 리더(파트너)는 “태양광이 재생에너지 성장에 가장 큰 기여를 했다”며 “넷제로 목표를 달성하려면 신재생 에너지가 더 빠르게 성장해야 하고 태양광과 풍력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재생에너지는 경제성, 지속성, 인프라 건설에 대한 저항성 등 여러 도전 요소를 가지고 있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을 찾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유원석 PwC컨설팅 파트너는 “블루수소, 원자력, 태양광 등은 유지되겠지만, 상대적으로 경제성이 떨어지는 해상풍력이나 그린수소는 타격이 있을 것”이라며 “미국 셰일가스 증산이 즉각 시행되면 미국 내 가격은 내려가고, 장기적으로 글로벌 에너지 시장은 안정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어 “국내 기업들은 트럼프 집권 초기의 정책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기보다, 법안 제·개정 시 발생하는 정책 시차를 고려해 유연하게 대응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미국 대선 이후 에너지 정책 변화 동향에 대해서는 닐로우파 몰라비 PwC글로벌 오일 앤 가스 리더(파트너)는 “바이든 정부에서 도입된 환경 규제가 사라지며 석유 및 가스 생산이 늘어나겠지만, 이것이 공급가격에 영향을 미치기까지 시간이 걸린다”며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른 세액공제 또한 일자리와 투자, 에너지 원천 개발에 영향을 줬기 때문에 전면 폐지보다 일부 사라지거나 기준이 강화되는 쪽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고 예상했다.
이날 세미나는 글로벌 탈탄소화와 에너지 전환의 방향성을 전망하고 이에 따른 한국 에너지 정책 및 시장의 변화 방향, 국내 기업의 대응 전략 등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현장 및 온라인 생중계로 동시 진행됐으며, 산업통상자원부, 전력거래소 관계자, 기업 관계자 600여명이 참석했다.
한편 삼일PwC 에너지트랜지션센터는 국내외 에너지 전문가가 모여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사업 전략 수립부터 사업기회 확장을 위한 투자, 인수합병(M&A) 자문, 세무 자문 등 고객 맞춤형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권현지 기자 hjk@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