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n2.ppomppu.co.kr/zboard/data3/hub_news2/2025/0122/newhub_2025012115232297615_1737440601.jp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직후 파리기후변화협약을 탈퇴하고 석유 시추 확대, 전기차 보조금 폐지 등 친환경정책 폐기에 나서면서 글로벌 금융회사들의 탄소중립 정책 퇴행 우려가 나온다. 국내 금융사들도 다양한 탄소중립 정책을 펼쳐왔는데 달라진 미국 분위기로 정책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20일(현지시간) 미 워싱턴DC에서 열린 취임 행사에서 파리기후변화협약을 탈퇴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파리협약은 지구 온난화를 막고,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내용이 핵심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전부터 파리협약이 미국에 불공정한 협약이라며 탈퇴를 예고한 바 있다. 그는 이날 전기차 우대정책을 포함한 바이든 행정부의 친환경 산업정책인 '그린 뉴딜'의 종료와 석유 시추 확대를 선언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각종 친환경 정책의 종료를 선언하면서 금융계도 큰 영향을 받고 있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작년 말 트럼프의 대선 승리 이후 미국 6대 대형 투자은행(IB)의 넷제로은행연합(NZBA) 탈퇴가 이어졌다. NZBA는 2050년까지 은행의 대출, 투자 및 자본시장 활동을 탄소배출 제로에 맞추기 위한 국제연합(UN) 산하 기후 기구다. 2022년을 전후로 국내 주요 은행들도 모두 NZBA에 가입했다.
하지만 골드만삭스를 시작으로 웰스파고, 씨티그룹, 뱅크오브아메리카, 모건스탠리, 제이피모건 등 미국 주요 은행들은 최근 한달 동안 순차적으로 NZBA를 나갔다. 미국 뿐 아니라 캐나다에서도 TD은행, 몬트리올은행, 내셔널뱅크오브캐나다, 캐나다임페리얼상업은행 등 4개 은행이 이달 NZBA 탈퇴를 선언했다.
북미 주요 은행들이 친환경정책에서 발을 빼는 것은 트럼프 대통령과 공화당의 공격을 피하기 위해서다. 공화당은 적극적인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강화 정책을 펼치는 은행들에게 채권 발행 제한과 연기금 투자 금지 등의 불이익을 줄 것이라고 경고해왔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에 따르면 미국 공화당은 NZBA에 가입한 금융사들이 독점 금지법을 위반하고 미국 소비자에게 해를 끼칠 수 있다고 주장해왔다. 텍사스주를 중심으로 금융사들의 ESG 전략에 문제를 제기하며, 금융사의 석유 및 가스 산업에 대한 정책 검토 및 처벌을 예고하기도 했다. 트럼프 당선 이후 이런 분위기가 확산되면서 은행들이 선제적으로 친환경정책에서 발을 빼고 있다는 것이다.
다만 미국과 달리 한국 금융권에서는 아직 친환경 정책 후퇴 분위기는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 국내 주요 은행들은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감축 전략 등을 자율 공시하는 등 금융배출량에 대한 관리를 강화해왔다. 올해도 탄소중립 정책은 지속될 전망이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미국의 분위기가 많이 달라지긴 했지만 국내 은행들은 여전히 ESG정책을 지속할 계획"이라며 "우리나라에서 탄소중립 등 친환경 정책이 미국처럼 급변할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
방승연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수석연구원은 "미국과 달리 유럽 주요은행들은 친환경정책을 지속할 가능성이 높다"며 "국내은행들도 글로벌 은행들의 기후변화 대응 방안을 모니터링 하면서 유연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창환 기자 goldfis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