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경제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MAGA의 귀환] 관세 숨고르기에 외환시장 환호...킹달러 우려 상존
아주경제 기사제공: 2025-01-22 05:00:00
연합뉴스
[연합뉴스]
원·달러 환율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첫날 발언에 따라 롤러코스터 장세를 보였다.
보편 관세 가능성은 선반영된 터라 당장 1500원 수준으로 급등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
다만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주요 정책 발표 때마다 환율이 출렁이는 변동성이 상당 기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21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주간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 기준 12.2원 내린 1439.5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12월 18일 1435.5원 이후 최저치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 직후 신규 관세 조치가 언급되지 않자 환율은 전날보다 14.7원 하락한 1437.0원으로 시작해 장 초반 18.8원 낮은 1432.9원까지 떨어졌다.
 
이후 다음 달부터 캐나다·멕시코에 대한 25% 관세 부과 발언이 전해지자 낙폭이 급격히 축소됐다.
107.9까지 1% 이상 떨어졌던 달러인덱스(DXY)는 108.7로 급등했다.
환율도 10원 가까이 뛰었다가 오후 장부터 진정세를 보였다.
전문가들은 환율 추가 급등 우려는 다소 누그러졌지만 추세적 하락을 논하기엔 이르다는 판단을 내놓았다.
 환율이 올 들어 1500원 턱밑까지 급등하면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따른 정책적 불확실성은 선반영됐다는 분석이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는 "최근 하락세를 놓고 안정 기조로 간다고 보기는 어렵다"며 "미국의 새 정책과 강달러 여부 등 불확실성이 남아 있기 때문에 환율이 큰 폭으로 떨어질 가능성은 낮다"고 설명했다.
보편 관세 현실화 등 향후 달러 강세를 부추길 변수는 수두룩하다.
미국 경제가 견조한 흐름을 지속하면서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기준금리 인하 속도가 지연되고 있는 점도 원화 약세 재료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국내 정치 갈등 요인은 시간이 지나며 해결될 것"이라며 "향후 환율 변동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재료는 트럼프 관세 정책"이라고 말했다.
그는 "대중 관세 부과가 시작되면 위안화 절하로 원화도 같이 절하될 수 있다"며 "많이 내리면 1400원대 초반까지 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2기 내각이 유연한 정책을 추진할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판단되지만 언제든지 니어쇼어링(캐나다·멕시코)에 대한 고율 관세처럼 대중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도 있어 안심할 수 없다"고 말했다.
김 교수도 "대외수입청(ERS) 신설 등 관세 정책은 환율을 끌어올릴 수 있는 요인"이라고 덧붙였다.

아주경제=서민지·장선아 기자 vitaminji@ajunews.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아주경제(www.ajunews.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占쎌쥙�ν걫占쎌뼔占쏙옙�용쐻�좑옙
HTML占쎌쥙�ο㎖猷잜맪�좑옙
雅�퍔瑗띰㎖�곗삕�⑨옙��뜝�뚯뒠占쏙옙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