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일 오후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종합시장 과일가게에서 제수용 배 가격을 본 한 시민이 내뱉은 말입니다. 가격표에는 '1개 1만 원'이 쓰여 있습니다.
그 모습을 바라보는 상인의 표정도 밝지만은 않습니다. 상인 A 씨는 "8000원에 팔던 건데 가격이 올라서 1만 원이 됐다"며 "여름에 날이 너무 더워서 물건이 다 망가져 물량이 없다. 배는 날이 더우면 망가진다"고 <더팩트> 취재진에게 설명했습니다.
설 연휴를 일주일가량 앞둔 이날 취재진이 찾은 경동시장과 청량리종합시장은 치솟는 물가와 얼어붙은 소비 심리를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었습니다. 상인들은 한 명에게라도 더 팔려고 하지만 지갑을 여는 방문객은 많지 않습니다. 물건을 손에 들었다가 놓기를 반복할 뿐입니다.
20일 오후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종합시장이 시민들로 북적이고 있다. /이상빈 기자
지난 12일 한국물가정보에서 발표한 전통시장과 대형마트 4인 가족 기준 차례상 평균 비용은 각각 30만 2500원, 40만 9510원입니다. 지난 2024년에는 각각 28만 3500원, 38만 1980원이었습니다. 1년 만에 각각 6.7%, 7.2% 올랐습니다.
한국물가정보에 따르면 전통시장 기준 과일류와 채소류 가격이 지난해 대비 각각 57.9%, 32.0% 상승했습니다. 특히 과일류 가격 상승의 주요한 부분을 차지한 것은 '배'였습니다.
이에 대해 한국물가정보는 "사과는 지난해와 비교해 작황을 회복했으나 배는 지난 여름 폭염 및 집중호우로 일소, 낙과 등 피해가 커 생산량 감소와 상품성 저하로 저장량이 줄어들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취재진이 만난 경동시장 과일가게 상인 의견과 다르지 않습니다.
20일 오후 경동시장과 청량리종합시장에서 판매 중인 과일류와 채소류 모습 /이상빈 기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KAMIS)에 따르면 지난 20일 기준 배(신고·상품·10개) 소매가는 4만 4636원입니다. 평년(3만 3440원) 대비 33.6% 상승했습니다. 사과(후지·상품·10개)는 2만 6616원으로 평년(2만 5763원) 대비 3.3% 올랐습니다.
지난해 여름을 강타한 불볕더위와 경제 불황 그리고 불안정한 정치 상황 등이 맞물려 새해 제수용 식품류 고물가 현상이 계속되면서 설 대목을 앞둔 전통시장 분위기는 가라앉았습니다.
경동시장에서 채소류를 파는 상인 B 씨는 "토요일에는 사람이 있었는데 일요일에는 없었다. 전에는 명절 한 달 전부터 사람이 많았지만 이제는 안 그러더라"며 "비싸면 사람들이 안 사가니까 싸게라도 파는데 우리가 남는 게 없다"고 고물가로 달라진 시장 풍토에 한숨을 내쉬었습니다.
손수레 대신 검은 봉지만 한 손에 들고 시장을 빠져나가던 시민 C 씨는 "대형마트보다 싸니까 왔는데 살 것만 조금 샀다. 지금은 다 비싸다"고 털어놨습니다.
pkd@tf.co.kr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더팩트(www.tf.co.kr)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현장FACT] '설 대목 옛말' 상인도 손님도 웃지 못한 전통시장 (영상)
[더팩트|이상빈 기자] "값이 너무 올랐네. 동네든 시장이든 어딜 가든 다 비싸."지난 20일 오후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종합시장 과일가게에서 제수용 배 가격을 본 한 시민이 내뱉은 말입니다. 가격표에는 '1개 1만 원'이 쓰여 있습니다.그 모습을 바라보는 상인의 표정도 밝지만은 않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