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20일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과 관련해 "불확실한 상황"이라며 "전담반(TF)을 만들어서 여러 의견을 청취하며 시나리오별로 대응 방안을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송 장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 언론간담회에서 이같이 언급했다. 송 장관은 "내일 식품 회사를 중심으로 어떤 애로사항이 있는지 듣고 대응할 것이 있다면 할 생각"이라며 "여러 상황을 펼쳐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지난 1기 트럼프 행정부 때를 돌아보면 "농업계는 사실 큰 영향이 없었다"는 게 송 장관 설명이다. 그는 "식품이 갖는 특수성과 관세를 높게 부과했을 때 미국 물가가 오르는 부담이 있기에 상대적으로 다른 분야 대비 농식품은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짚었다.
![](//cdn2.ppomppu.co.kr/zboard/data3/hub_news2/2025/0120/newhub_2025012016250495798_1737357905.jpg)
농식품부는 올해 K-푸드와 연관 산업을 포함한 수출액 목표를 140억달러로 잡았다. 지난해 목표액(135억달러)을 달성하지 못했다 보니 올해 목표치가 높다는 평가가 나온다. 송 장관은 이와 관련해 "K-푸드는 (지난해보다 늘어난) 105억달러를 목표로 잡았고 나머지 35억달러가 플러스(농기구, 비료 등)인데 작년과 목표치가 같다"며 "성장이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송 장관은 이를 위해 기존 주력 시장인 미중일 외에 다양한 시장에서 수출량을 넓히겠다며 "인구가 많은 인도나 중남미 시장 같은 곳을 새로운 수출지로 확보하자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경제 성장률이라든지 여러 상황을 감안해보면 도전적인 목표"라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연초부터 열심히 뛸 것"이라고 덧붙였다.
송 장관은 올해 업무보고와 관련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민생 안정 5대 패키지"라며 "그중 가장 중요한 게 농산물 수급이 안정적으로 이뤄지는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여러 준비하고 있다"며 "핵심적인 건 지난 2년간 기후 위기로 일부 품목 수급이 불안한 경우가 많았고, 이를 중장기적으로 대응하는 것을 이미 시작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농식품부는 생산을 세 단계로 나눠 대응책을 모색하고 있다. 생산 전 단계에선 과학적인 전망 시스템을 확보하기 위해 올 하반기에 농림 위성을 발사하기로 했다. 생산 단계에선 변화한 기후에 맞는 품목별 재배 적지 찾기에 나선다. 이 과정에서 해외 재배 적지도 모색한다. 생산 후 단계에선 비축 역량을 높이는 시스템 마련에 주력할 계획이다.
송 장관은 "곡물류, 유지류 중심으로 해외 농업 개발을 하고 있다"며 "사과는 검역 협상 등이 있기에 고려하지 않고 있고, 배추와 무는 재배 적지를 찾아보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해외 농업 개발 때 참여 농기업에 장기, 저리로 융자해주고 있다"며 "기업이 평상시엔 농사해서 현지서 유통하지만 국내 수급 불안 상황에선 반입 명령을 내면 우리나라로 반입해야 한다는 법을 지난해 만들어놨다"고 언급했다.
송 장관은 1996년 농지법 개정 이후 변화 없이 유지돼 오고 있는 농지 규제를 올해 개선하겠단 목표도 내놨다. 농지 활용도를 높이고, 농지 소유 규제를 완화하면서 지방의 자율권을 확대하겠단 계획을 구체화했다. 쌀 수요 감소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 올해 벼 재배면적 8만㏊를 감축하겠단 목표도 재차 언급했다.
송 장관은 "올해는 저를 포함해 농식품부 공직자 모두가 어느 때보다 비상한 각오로 현재 당면한 문제와 미래를 준비하는 일까지 차곡차곡 챙겨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중장기 미래 대응을 위한 노력도 게을리하지 않겠다며 "(농업) 구조 전환 준비도 우리가 씨를 뿌려 놓을 것"이라고 했다.
세종=김평화 기자 peac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