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에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슈퍼 트럼피즘'으로 불리는 미국 우선주의 정책 강화에 따른 증시 영향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올 들어 지난해의 부진에서 벗어나 안정을 되찾고 있는 국내 증시는 트럼프 당선인의 대통령 취임을 전후로 변동성 확대를 경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2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7일 코스피는 전장 대비 0.16% 하락한 2523.55에 마감했다. 트럼프 당선인 취임을 앞두고 관망세가 짙어지는 모습이다.
![](//cdn2.ppomppu.co.kr/zboard/data3/hub_news2/2025/0120/newhub_2025011715572993507_1737097049.jpg)
이성훈 키움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당선인은 취임 직후 다수의 행정명령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우선적으로 반(反) 이민, 에너지, 무역 및 관세 중심으로 정책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 가운데 관세 정책에 대한 노이즈가 연초부터 주식시장 변동성을 자극했으나 일단 관세 부과의 초기 타깃은 중국, 캐나다, 멕시코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스콧 베센트 미 재무부 장관 지명자가 관세는 다른 나라와의 불공정한 무역 관행을 바로잡기 위한 '협상 도구'로 사용할 것임을 재차 강조하며 관세에 대한 우려를 일부 완화시켜주는 발언을 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앞서 지난해 11월 트럼프 당선인의 재선 성공으로 국내 증시가 약세를 보였던 점을 감안할 때 취임식을 앞두고 트럼프 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적지 않은 게 사실이다. 취임 직후 다수의 행정명령을 쏟아낼 것으로 예상돼 이로 인해 시장이 요동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최근 미국 국채 금리 급등 현상에는 물가 리스크에 따른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금리정책 불확실성이 가장 큰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또 다른 한편에서는 트럼프 2기 정책 불안감도 무시할 수 없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면서 "취임 직후 행정명령 등을 통해 추진될 주요 굵직한 정책들로는 이민 정책과 에너지 정책 그리고 작은 정부 정책 등으로 예상되고 있는데 '충격과 공포'로 표현되는 취임 직후 '메가 법안' 추진은 금융시장에도 적지 않은 변동성을 야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트럼프 당선인은 취임 첫날에만 100개 이상의 행정명령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윤재홍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당선인은 지난 1기 220건의 행정명령 및 기타 행정 조치를 통해 기존의 정책 방향을 대대적으로 수정하거나 정책 의제를 신속히 실행하는 모습을 보였다"면서 "1기 전체 행정명령의 절반에 가까운 수치를 취임 직후 발표하겠다는 것은 그만큼 신속한 공약 및 정책 집행에 초점을 두겠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트럼프 리스크가 이미 시장에 선반영됨에 따라 취임 직후에는 안도심리가 반영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관세 부과를 중심으로 인플레이션과 재정 우려 등 정책이 시장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은 알 수 없지만 시장은 최악의 시나리오로 불확실성을 선반영하며 긴장을 높이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선반영된 불안심리가 오히려 트럼프 당선인 취임 이후 불확실성 완화, 안도심리로 시장에 반영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당선인 취임에 따른 변동성 장세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관세 리스크를 회피할 수 있는 업종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나정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임기 초반에는 트럼프 당선인이 대외적 협상력을 높이는 전략을 취할 가능성이 높은데 트럼프 당선인이 실제로 매월 2~5%의 점진적 보편관세 부과를 고려하는 등 관세 부과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할 수 있다"면서 "이는 단기적으로 주가 변동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트럼프 당선인과 협력하거나 관세 리스크를 회피할 수 있는 업종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나 연구원은 이 같은 업종으로 엔터테인먼트, 방위산업, 조선업종을 꼽았다. 그는 "엔터주는 트럼프 당선인의 관세 리스크를 일부 회피할 수 있는 업종으로, 콘서트 매출은 서비스 소비이고, 관세를 부과할 수 있는 재화인 앨범 및 MD제품은 소비자 가격 전가가 가능하다. 또 조선 및 방산업종은 지난해 트럼프 수혜주로 지목된 이후 주가가 강세를 지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송화정 기자 pancak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