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관세인상·인플레·AI ‘삼각파도’ “씨름서 수영으로 종목 바뀌는 격 수출 주도 경제모델 이젠 탈피를 해외서 500만명 유입 내수 늘려야”
최태원(사진)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SK그룹 회장이 최근 국제 경제질서 재편에 대해 “(자유무역 질서를 확대한) 세계무역기구(WTO) 체제에서 양자주의로 바뀌는 건 씨름 시합을 하다 갑자기 수영 종목으로 바뀌는 느낌일 정도로 완벽하게 다른 게임의 시작”이라며 “수출 주도형 (한국) 경제도 바꿔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19일 KBS ‘일요진단’에 출연해 “미국 주도의 관세 인상과 이에 따른 인플레이션 압력, 인공지능(AI)의 빠른 기술적 변화 등의 불안요소가 ‘삼각파도’로 다가오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최 회장은 도널드 트럼프 1기 행정부 4년간 600억달러 수준이던 한국의 대미 무역 흑자액이 조 바이든 정부 4년간 1500억달러로 늘어난 것을 들며,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통상 압력으로 돌아올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다만 바이든 행정부 4년간 한국 기업의 대미 투자 역시 1200억달러에 달했다며 이를 미국에 설득시키는 것이 과제라고 봤다. 그는 “근본적으로 보면 수출을 통해 돈을 벌겠다는 모델을 바꿔야 하는 문제에 직면했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중국의 부상으로 미국이 보호무역주의로 돌아선 데다 트럼프 행정부가 법인세·소득세를 낮출 경우 세수 부족분을 관세 인상으로 메울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이런 상황에서 “(한국이) 수십년간 활용했던 수출주도형 경제모델은 현재의 무역질서에서 과거처럼 작동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어 “세계 경제 질서가 바뀐다는 것은 마치 씨름에서 수영으로 경기의 종목과 룰이 바뀌는 것과 같다”며 “씨름을 잘해 왔던 선수라도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고 단언했다. 그는 “피나는 노력으로 스스로 씨름에서 수영 선수로 탈바꿈하거나 최소한 물속에서 씨름을 하자고 (규칙을 바꿀) 목소리를 내는 것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최 회장은 “대한민국 혼자 국제 질서나 룰을 바꿀 만한 힘은 부족하기에 연대할 파트너들이 필요하다”며 “이웃에 있는 일본과 같은 나라도 룰을 만들기보다 수용하는 데 익숙해져 있기에 (서로) 연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위기 대응책으로 연대 파트너를 찾는 것과 함께 해외투자 확대, K컬처 등 소프트웨어 수출 증대, 약 500만명의 해외인구 유입을 통한 내수 활성화를 들었다. 최 회장은 “우리는 경제 규모에 비해 해외에 전략적인 투자를 체계적으로 하고 있지 않다”며 “엔비디아가 크게 성장했을 때 엔비디아 안에 대한민국의 포션(투자 비중)이 얼마나 있을지 의문”이라고 투자 다각화를 강조했다. 아울러 “통상 압박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문화상품들을 좀 더 체계적으로 만들어 판매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최 회장은 또 “해외 시민을 유입해 국내에서 일하고 세금을 내고 소비도 늘리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며 “인구의 약 10%인 500여만명의 해외인력 유입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송은아 기자
|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