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 대위변제액도 작년 1조1568억원 증가
은행 대출을 제때 갚지 못해 보증기관이 대신 빚을 갚아준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등이 지난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신용보증재단중앙회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지역신용보증재단(지역신보) 일반보증 대위변제액이 2조3997억원 순증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 한 시장의 상인들이 손님을 기다리고 있다. 뉴스1 | 이는 2023년 순증액인 1조7126억원보다 약 40% 늘어난 수치다. 지역신보는 각 지역 중소기업·소상공인의 자금 융통을 돕기 위해 채무 보증을 돕는 기관이다. 소상공인이 대출을 갚지 못했을 경우 보증을 제공한 지역신보가 은행에 이를 대위변제할 수 있다. 지역신보 대위변제액은 순증액 기준 2021년 4303억원, 2022년 5076억원 늘어났다. 보증 잔액 대비 대위변제 순증액을 나타내는 대위변제율도 꾸준히 늘면서 지난해 5.66%에 달했다. 2021년 1.01%에 그쳤던 대위변제율은 2022년 1.10%에서 2023년 3.87%로 급등했고, 지난해 이례적으로 5%를 넘어섰다. 기술보증기금(기보)의 중소·벤처기업 일반보증 대위변제액도 지난해 1조1568억원 순증한 것으로 집계돼 높은 증가세를 유지했다. 이는 외환위기 때인 1998년 1조31억원을 넘은 역대 최대 규모다. 대위변제 순증액은 2021년 4904억원, 2022년 4960억원에서 2023년 9567억원으로 2배 이상 급증했다. 2023년에 비하면 지난해 순증액은 20.9% 늘어났다. 이처럼 대위변제 규모가 커진 것은 소상공인·중소기업이 팬데믹 이후 대출을 크게 늘린 뒤 아직 이를 갚을 만한 여력을 회복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계엄 등 정치적 불안정으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 계속되는 고환율 등으로 인해 영세 사업자들의 사정은 올해도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중소벤처기업연구원은 최근 김 의원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중소기업은 통상환경 변화, 환율 상승 등 대외 여건에 대한 대응과 준비가 부족할 우려가 있다”고 진단했다. 연구원은 “달러 강세가 지속하는 가운데 계엄 이후 고환율 상황으로 원부자재 수입 부담 증가 등 피해가 우려된다”고 분석했다. 윤솔 기자 sol.yun@segye.com
|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