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력원자력과 한국전력은 16일(현지시간) 미국 웨스팅하우스와 지식 재산권 분쟁을 종결하고 향후 글로벌 원전 시장에서 협력하기로 합의했다고 17일 밝혔다. 한수원과 한전은 “이번 합의로 웨스팅하우스와 지재권 분쟁을 공식적으로 종료하고 글로벌 원전 시장에서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며 “이번 합의는 한수원과 웨스팅하우스 간 더욱 긴밀한 협력 관계를 구축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 체코 두코바니에 있는 두코바니 원자력발전소의 냉각탑 모습. AP뉴시스 | 업계에 따르면 한수원과 한전, 웨스팅하우스는 웨스팅하우스의 지분을 가진 캐나다 핵연료 회사 카메코와 함께 16일(현지시간) 미국 현지에서 지재권 분쟁 협상을 타결했다. 그간 한수원과 웨스팅하우스 간 지재권 분쟁은 올해 3월로 예정된 체코 두코바니 신규 원전 건설 최종 계약을 앞두고 최대 걸림돌로 여겨졌다. 하지만 지재권 분쟁이 마무리되며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한수원이 체코 신규 원전 수출 계약을 따낼 가능성이 한층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수원·한전과 웨스팅하우스는 이번 지재권 협상 타결과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은 상호 비밀 유지 약속에 따라 공개하지 않기로 했다. 업계에서는 한수원이 체코 원전 수출과 관련해 웨스팅하우스에 조 단위 로열티 혹은 일감을 주고, 향후 다른 제3국 원전 수출도 공동 추진하는 것과 같은 상당한 수준의 양보를 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웨스팅하우스의 전통 시장인 유럽에서는 양사 공동 진출을, 신흥 시장인 중동은 한국이 단독 진출하는 등 특정 지역 원전 수출 문제를 놓고 ‘상호 조정’이 있었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 체코 신규원전 예정부지 두코바니 전경. 한국수력원자력 제공 | 양측 간 지재권 분쟁은 웨스팅하우스가 한수원이 체코에 공급하려는 최신 한국형 원전 APR1400이 자사의 원천 기술에 기반한 것이라며 제동을 걸며 시작됐다. 한수원은 APR1400의 국산화에 성공했기 때문에 독자 수출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었다. 한수원·한전으로서는 불확실한 분쟁을 이어가기보다는 이번 협상 타결을 통해 ‘팀 코러스’(Korea+US)로 글로벌 수출 시장을 넓히는 전략을 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향후 국내에서 타협 도출을 위해 어디까지 양보했는지를 두고 논란이 일 가능성이 있다. ‘팀 코러스’로 수출에 나설 경우 한국 기업에 돌아가는 이익이 대폭 줄어들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정부와 한수원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세계 에너지 안보 우려, AI 붐이 낳은 전력난 등에 따라 한때 주춤하던 세계 주요국 원전 시장이 다시 커진 상황에서 설계 등 원천 기술을 가진 미국과 설계, 시공, 운영 등 능력을 갖춘 한국이 협력해 커지는 시장을 공동 공략하는 것이 양국 모두의 장기적 이해관계에 부합한다고 판단하고 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최근 기자 간담회에서 “이제 민간에서도 문제를 건설적으로 잘 풀려고 하는 노력을 하지 않을까 싶다”며 “이 문제가 풀어진다면 엄청나게 큰 시장에 같이 가서 조인트 파트너십으로 할 일이 많아 한미 기업이 공동으로 많은 것을 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채명준 기자 MIJustice@segye.com
|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