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쌀 공급과잉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올해 처음으로 추진하고 있는 '벼 재배면적 조정제'를 통해 8만㏊를 감축하지 않는 경우 농업소득이 농가당 24만원 이상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쌀 과잉공급은 가격 하락을 유발하고 이는 결국 소득 감소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16일 잠실 롯데호텔 월드(서울)에서 '농업전망 2025'를 개최하고 이같은 농업관련 주요지표 전망 결과를 발표했다.
농식품부는 올해 8만㏊ 감축을 목표로 벼 재배면적 조정제를 추진하고 있다. 조정제 시행을 위해 2024년 쌀 생산량을 바탕으로 지난해 12월 시·도별로 감축면적을 배분했고, 이달 중 개별 농가에 줄여야 할 벼 재배면적을 통보할 예정이다. 친환경 벼와 가루쌀은 재배면적 조정제 대상에서 제외하고, 농가 간의 감축면적 거래도 허용한다. 참여 독려를 위해 감축을 이행한 농가에는 시중보다 매입 단가가 7~10% 높은 공공비축미 물량을 우선 배정하기로 했다.
김용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장은 "정부가 벼 재배면적을 추진하고 있는 만큼 이번 전망의 전제조건으로 벼 재배면적 조정제를 통한 8만ha 감축을 설정했다"며 "이 경우 올해에도 농업생산액과 농가소득 증가 추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2025년 총 농업생산액은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한 60조1000억원으로 전망된다. 농가소득도 호당 5435만원으로 2.6%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농가소득은 농가가 일년 동안 벌어들인 소득으로 농업·농외·이전·비경상소득으로 구성된다. 농업소득은 농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소득을 의미한다.
하지만 올해 감축 목표치인 벼 재배면적 8만㏊를 줄이지 못하는 경우 농가소득 증가세는 1.5%로 둔화한다. 농업직불금 등 확대로 이전소득은 호당 1803만원으로 3% 증가하지만, 농업소득이 지난해 1280만원에서 올해 1256만원으로 1.9% 감소하기 때문이다.
이형용 농촌경제연구원 곡물관측팀장은 "농산물은 일상생활에 필수적인 식품이기 때문에 가격이 오른 만큼 수요가 줄어들지 않는 특성이 있다"며 "벼 재배면적 8만㏊를 감축하면 쌀 생산량이 약 40만t 줄어 쌀값이 오르면 농가 소득 증가 효과가 커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올해 벼 재배면적은 전년 대비 최대 11.5% 줄어들 것으로 연구원은 전망했다. 이 팀장은 "2026양곡연도 벼 재배의향 면적은 벼 재배면적 조정제(8만㏊)와 전략작물직불제 확대 영향 등으로 최대 11.5% 감소할 것"이라며 "재배면적 감축이 이뤄지지 않은 경우에는 2.3%(1만6000㏊)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벼 재배면적은 69만8000㏊였다. 면적이 11.5%, 즉 8㏊ 줄면 61만8000㏊, 2.3% 줄어드는 경우 68만2000㏊가 된다.
농업에 종사하는 인구인 농가인구 감소세는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 농가인구는 204만5000명으로 전년 대비 2.1% 줄었다. 올해에도 이 감소세(2.1%)가 유지되며 2025년 농가인구는 200만2000명을 기록할 전망이다. 고령화 심화에 따라 65세 이상 농가인구 비중은 2024년 52.7%에서 52.9%로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농촌경제연구원은 이날 전망대회에서 ▲농정 방향과 한국 농업의 미래 ▲2025년 농정이슈 ▲산업별 수급 전망과 현안 등에 대한 주제발표를 진행한다.
세종=주상돈 기자 d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