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고도 경제(Low Altitude Economy)' 또는 '저공경제(低空??)'란 유·무인 항공기를 운반체로 한 저고도 비행 활동을 통해 다양한 산업이 융합 발전하는 복합적인 형태의 경제를 의미한다.
저고도 경제를 통해 드론이 만리장성 관광객에게 훠궈나 커피를 배달하고, 에어 택시를 타고 하늘 위로 출근하는 직장인의 모습을 상상해볼 수 있다. 중국 정부는 최근 1000m 이하의 저고도 공역에서 드론과 전기수직이착륙기(eVTOL· 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등을 활용한 산업을 통칭하는 저고도 경제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국은 2021년 '국가 종합 3차원 교통망 계획 개요'에 저고도 경제를 국가 계획에 처음으로 포함했다. 주로 군사용으로 적용되던 범위를 군-지방정부-민간 3자 협업 관리로 저변을 확대하기 시작했다.
지난해 3월에는 중국의 최대 연례 정치행사인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기간에 처음으로 정부 업무보고에 언급되면서 대표적인 새로운 질적 생산력으로 떠올랐다. 정부 업무보고에서는 정책과제인 현대화된 산업 체계 구축과 저고도 경제에 대해 "새로운 성장 엔진으로 육성할 것"이란 발표가 나왔다. 지방정부도 중앙정부만큼 관심이 높다. 지방 양회의 업무보고에서 광둥성, 장쑤성, 쓰촨성 등 2023년 중국 지역내총생산(GRDP) 상위 지역을 포함한 20개 이상의 지방정부가 저고도 경제 발전을 언급했다.
![](//cdn2.ppomppu.co.kr/zboard/data3/hub_news2/2025/0115/newhub_2025011513315190188_1736915512.jpg)
중국 관영 방송사인 CCTV는 지난해 초 특별 보도를 통해 "2024년은 중국 저고도 경제 성장의 원년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중국의 저고도 경제는 양회가 끝난 이후부터 빠르게 성장했다. 중국 공업정보화부 산하 싸이디(賽迪)컨설팅의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9월 기준 중국 저고도 경제 관련 기업 수는 상장사 118개를 포함 5만 개를 돌파했다. 정부의 정책적 지원 성과도 나왔다. 중국민용항공총국(CAAC)은 이달 4인승 전기 항공기 'RX4E'에 형식증명(항공기 기술기준 적합 인증)을 발급했다. 최대 탑재량 200kg 이상인 중국의 첫 1인승 전기 항공기 '앤트고원(AnTGOne)'은 오는 3월 양산에 들어갈 예정이다.
중국 정부는 각종 산업 정책을 저고도 경제와 접목해 응용할 계획이다. 농업에서는 드론을 활용한 재배와 모니터링 활용뿐 아니라 긴급 구조, 유통·물류, 모빌리티 등 다양한 분야를 발전시키며 자국민 삶의 질을 끌어올리고 있다. 정책이 본격 시행되고 상용화될 경우 차세대 먹거리로 부상할 가능성이 높다. 중국의 저고도 경제 규모는 지난해 6700억위안(134조6700억원)을 넘어 2026년 1조위안(201조원), 2030년 2조위안(372조원)을 돌파할 전망이다.
최호경 기자 hocanc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