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n2.ppomppu.co.kr/zboard/data3/hub_news2/2025/0115/newhub_2024111309530097768_1731459180.jpg)
지난달 취업자 수가 5만명 넘게 줄며 3년10개월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건설업, 제조업, 도소매업 등 전 산업군에서 취업자 감소폭이 확대된 영향이다. 지난해 연간으로는 취업자수가 16만명 가까이 늘었지만 증가폭은 전년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통계청이 15일 발표한 '2024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취업자 수는 2857만6000명으로 전년대비 15만9000명 증가했다.
연평균 취업자 수는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 21만8000명 감소했으나 이듬해 36만9000명 증가로 전환했고, 2022년(81만6000명) 장기 추세를 상회하는 높은 증가세를 기록한 뒤 2023년(32만7000명)에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산업별로 보면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8만3000명), 정보통신업(7만2000명),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6만5000명) 등에서 증가가 두드러졌다. 반면 도소매업(-6만1000명),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임대서비스업(-5만2000명), 건설업(-4만9000명) 등에서 감소했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18만3000명, 임시근로자는 15만4000명 각각 증가했으나, 일용근로자는 12만2000명 감소했다. 비임금근로자 중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1만2000명 증가했으나,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4만4000명, 무급가족종사자는 2만 4000명 각각 감소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2.7%로 전년보다 0.1%포인트 올랐다. 1963년 통계 작성 이래 최고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인 15∼64세 고용률(69.5%)도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전년대비로는 0.3%포인트 상승한 수준이다.
다만 청년층(15~29세) 고용률은 46.1%로 전년대비 0.4%포인트 하락했고, 실업률은 2.8%로 전년대비 0.1%포인트 상승했다. 청년층(15~29세) 실업률은 5.9%로 전년과 동일했다.
![](//cdn2.ppomppu.co.kr/zboard/data3/hub_news2/2025/0115/newhub_2024111309530597769_1731459185.jpg)
작년 12월만 놓고 보면 취업자 수가 2804만1000명으로 1년 전보다 5만2000명 줄었다. 산업별로 건설업(-15만7000명)에서 가장 크게 줄었고, 제조업(-9만7000명)과 도소매업(-9만6000명) 등에서도 큰 폭의 감소세를 보였다.
연령대별로 보면 60세이상에서 16만2000명, 30대에서 9만6000명, 50대에서 4000명 각각 증가했다. 반면 20대에서 19만4000명, 40대에서 9만7000명 각각 줄었다.
15~64세 고용률(OECD비교기준)은 69.4%로 전년동월대비 0.2%포인트 상승했다.
실업자 수는 111만5000명으로 1년 전보다 17만1000명 늘었다. 실업률은 3.8%로 전년동월대비 0.5%포인트 상승했다. 성별로 보면 남자는 3.1%로 전년동월대비 0.2%포인트 상승했고, 여자는 4.7%로 1.0%포인트 올랐다.
세종=조유진 기자 tin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