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은행 임단협 들여다보니 4개銀 임금인상률 2.8%… 0.8%P 증가 신한·하나 성과급, 기본급의 280% 책정 복지포인트·현금 지급 50만∼100만원↑ KB는 조정 중… 勞, 격려금 1000만원 요구 평균 1.1억 고액 연봉에도 매년 돈 ‘펑펑’ 4대금융, 2024년 순이익 첫 17조 달할 듯 대출 관리로 예·수신 금리차 확대 영향
지난해 예대금리차 확대로 역대 최고급 실적을 낸 은행들이 올해 임금 인상률을 높이고 성과급 규모를 확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침체 장기화로 국가 경제가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 은행권이 고액의 성과급과 억대 연봉을 이어가면서 또다시 ‘돈잔치’를 벌인다는 비판이 거세질 전망이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가운데 국민은행을 제외한 은행은 임금·단체협약(임단협)을 타결했다. | 서울 시내 설치된 ATM기기에서 시민들이 은행 업무를 보고 있다. 연합뉴스 | 국민은행은 노사 합의안 없이 조정 절차를 진행 중이다. 국민은행을 제외한 4개 은행의 임금인상률은 일반직 기준 2.8%로 결정됐다. 전년 2.0%에서 0.8%포인트 높아진 수준이다. 임금인상률은 한국노총 산하 산별노조인 금융노조가 사용자 측과 일괄적으로 협상하기 때문에 국민은행의 임금인상률도 2.8%로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은행권의 성과급도 전년 대비 확대되는 추세다. 신한은행과 하나은행은 올해 성과급으로 기본급의 280%를 책정했다. 지난해(신한 281%·하나 280%)와 비슷한 수준이다. 다만 신한은행은 현금성 포인트인 마이신한포인트 지급액을 100만포인트(100만원 상당)에서 150만포인트로 늘렸다. 하나은행도 현금 지급액을 100만원에서 200만원으로 늘리고 복지포인트를 50만원 증액한다. 농협은행은 통상임금 200%에 현금 300만원으로 전년 조건을 유지했다. 우리은행은 2024년 결산이 끝난 후 성과급 규모를 결정할 방침이다. 노조 측은 역대 최대실적을 낸 만큼 성과급 확대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임단협 교섭을 진행 중인 국민은행은 노조에서 통상임금 300% 수준의 성과급과 특별격려금 1000만원을 지급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전년 조건(통상임금 280%)보다 대폭 확대된 규모다. 은행권 노조가 성과급 규모 확대를 주장하고 있는 이유는 지난해 은행들이 역대 최고 수준의 실적을 냈기 때문이다.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까지 5대 은행의 누적 순익은 약 11조7883억원으로 전년 동기(약 11조3282억원)보다 4.06% 증가했다. 특히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의 지난해 연간 순이익 전망치는 총 16조9245억원으로 지난해(15조1367억원)보다 11.8%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전망치가 실현될 경우 이들의 연간 순이익 총액이 처음으로 17조원에 달하게 된다. 이 같은 호실적은 은행권의 예·수신 금리 격차가 확대된 영향이 크다. 은행들은 지난해 7∼8월 가계대출이 급증하면서 가계대출 관리를 위해 대출 금리는 올렸지만 시장 금리 하락에 따라 예금 금리는 내렸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은행권 신규 취급액 기준 예대금리차(1.41%포인트)는 2023년 8월(1.45%포인트) 이후 1년3개월 만에 최대 폭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5대 은행의 이자수익에서 이자비용을 뺀 이자이익은 약 29조1417억원으로, 전년 동기(약 28조6920억원)보다 1.57% 늘었다. ‘나홀로 호황’을 누리고 있는 은행 직원의 급여는 이미 높은 수준이다. 은행 경영현황 공개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5대 은행의 직원 근로소득은 평균 1억1265만원으로 집계됐다. 국민은행의 평균 연봉이 1억1821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하나은행(1억1566만원)·농협은행(1억1069만원)·우리은행(1억969만원)·신한은행(1억898만원) 순이었다. 박미영 기자 mypark@segye.com
|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