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귀환을 앞두고 글로벌 채권 금리가 치솟고 있다. 인플레이션 재점화 우려로 주요국 중앙은행이 기준금리 인하에 나설 명분이 약해진 탓이다. 주요국의 재정악화 상황까지 겹치면서 글로벌 시장금리가 당분간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cdn2.ppomppu.co.kr/zboard/data3/hub_news2/2025/0113/newhub_2025010707112578857_1736731754.jpg) 12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글로벌 시장금리 벤치마크인 미국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지난 10일 4.76%까지 오르며 지난해 4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가 지난해 9월 4년 반 만에 처음으로 빅컷에 나선 이후 11·12월 잇달아 금리를 인하했음에도 국채 금리는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는 설명이다. 블룸버그는 "2023년 잠깐 돌파했던,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5%'를 목전에 두고 있다"고 강조했다.
영국 이코노미스트는 "영국의 국채 금리는 극단적일 정도로 고공행진하고 있다"고 전했다. 연초 선진국 중 가장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던 영국 10년물 금리는 4.93%까지 올라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독일 10년물 국채 금리는 8거래일 연속 오르며 지난해 6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인 2.56%를 보였다. 일본 10년물 금리도 1.198%까지 상승하며 2011년 이후 1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cdn2.ppomppu.co.kr/zboard/data3/hub_news2/2025/0113/newhub_2025011308524085844_1736725960.jpg)
이코노미스트는 지난해 시작된 세계 주요국의 기준금리 인하 기조에도 "실물 경제는 전혀 좋아지지 않았다"며 "기업·가계가 직면한 차입 비용은 거의 변함이 없었다”고 분석했다. 미국 모기지(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주택 구매자들의 심리적 저항선인 ‘7%’를 앞두고 있다. 유로존 비금융기업 대출 금리는 유럽중앙은행(ECB)이 1년 11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인하했던 지난해 6월 0.7%에서 같은 해 11월 1.0%까지 치솟았다.
글로벌 국채 금리 상승의 가장 큰 요인은 트럼프 당선인의 이민자 추방, 관세 및 감세 공약 이행 가능성이다. 저임금 노동을 제공하던 이민자가 줄어들고, 보호무역주의에 따른 공급망 차질을 빚게 되면 물가 상승으로 이어지며 금리 인하 기조가 후퇴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또 트럼프 당선인은 올해 만료되는 '감세와 일자리법(TCJA)'을 연장하겠다고 예고했다. 2017년 트럼프 1기 집권 때 제정된 이 법은 법인세율을 35%에서 21%로 낮추는 것이 핵심 내용인데 트럼프 당선인은 법인세율을 15%로 더 낮추겠다고 공약했다.
마켓워치에 따르면 2008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폴 크루그먼 미국 뉴욕시립대 교수는 “장기물 국채 금리 상승은 트럼프 당선인이 경제정책에 대해 말하는 터무니 없는 것들을 믿고 이에 따라 행동할 것이라는 끔찍한 의심을 반영한다”고 강조했다. 주요국 재정적자 우려는 커지고 있다. 부채가 커질수록 정부는 국채 발행량을 늘릴 수밖에 없다. 이코노미스트는 "올해 주요 7개국(G7) 정부는 국내총생산(GDP)의 6%의 재정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실업률이 낮고 경제가 충분히 성장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비정상적으로 높은 수치"라고 설명했다.
블룸버그는 트럼프 당선인의 선거 공약대로라면 향후 10년간 미국 국채 시장 규모가 현 수준의 두 배인 50조달러까지 커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블룸버그는 "트럼프 2기 행정부 초대 재무장관으로 지명된 스콧 베센트, 트럼프 최측근 일론 머스크는 모두 재정적자를 비판하고 있지만, 적자를 더 키울 위험이 있는 정책도 지지한다"고 우려했다.
이 때문에 시장은 당분간 고금리 기조가 유지될 것으로 보고 있다. PGIM 그레고리 피터스 채권 부문 공동 최고투자책임자는 "이 같은 환경에서 미국 10년물 금리가 5%를 돌파하더라도 전혀 충격적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변선진 기자 s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